MEH-PPV를 이용한 PLED 소자제작.hwp |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과정 4. 생각해 볼 사항 5. 고분자 시료 6. 참고문헌 본문 1. 실험 목적 ITO / PEDOT:PSS / MEH-PPV / Al 구조를 갖는 고분자 유기발광 다이오드(Polym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LED)를 제작하여 전기 광학적 특성을 조사해보고, MEH-PPV의 농도를 다양하게 실험해봄으로써 PLED제작에 가장 적합한 농도를 찾아본다. 2. 실험 원리 (1)발광구조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을 통하여 전계발광을 하는 OLED소자의 구조는 최고의 발광효율을 구현할 수 있도록 다층형 구조로 되어있다. 아래의 그림은 일반적인 저분자와 고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다층형 구조를 보여준다. < PLED(왼쪽)와 OLED(오른쪽)의 일반적인 구조 > ▶Substrate: 일반적으로 기판으로 유리(Glass)를 사용한다. Glass는 Tg(유리 전이 온도, 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가 높고 지구상에 가장 많은 무기재료로서 구하기도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빛을 거의 100% 투과시키기 때문에 OLED소자가 발광할 때 그 효율을 쉽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Tg 때문에 Flexible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에는 어려우므로 향후 유연한 고분자물질인 PET, PI와 같은 플라스틱 기판이 많이 연구될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플라스틱 기판의 경우에는 유리와 반대로 Tg가 낮기 때문에 열에 약해 공정에 어려움이 있고 빛 투과도 역시 유리보다 낮기 때문에 발광효율을 감소시키는 단점을 갖고 있다. ▶Anode층(양극): OLED는 Anode는 진공증착이나 스퍼터링법으로 형성된 ITO(Indium Thin Oxide)가 주로 전극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Anode 전극은 보다 많은 정공을 만들고 정공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함수가 큰 물질을 사용한다. 또한 OLED소자가 발광했을 때 발광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게 하기 위하여 광투과도가 높은 물질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1) 공수철, 2005, MEH-PPV 농도에 따른 고분자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제작과 특성평가, 2) 장지근, 2006, 유기전자공학, 청문각 3) 장지근 외 7, 2005, 정보디스플레이공학, 청문각 4) 한국특허정보원, 2006, 백색 OLED 소자 5) 김천기, 2008, 혼합 용매를 사용한 PEDOT-PSS의 합성 및 특성 6) Guo-li Tu 외 8, 2004, BLUE LIGHT-EMITTING POLY(FLUORENE-CO-BENZENE) CONTAINING AN OXADIAZOLE MOIETY 7) 신상배, 2008, 백색 고분자 및 녹색 인광재료를 이용한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작과 특성평가 7) Wikipedia (http://www.wikipedia.org) 8) Sigma-Aldrish (http://www.sigmaaldrich.com) 9) RISS(http://www.riss.kr) 10)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http://www.polymer.co.kr) 키워드 발광, 발광효율, 효율, 정공, 여기자, 운반자 |
2016년 9월 28일 수요일
MEH-PPV를 이용한 PLED 소자제작
MEH-PPV를 이용한 PLED 소자제작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