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1일 수요일

리더십 유형과 리더와의 나이차가 리더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 유형과 리더와의 나이차가 리더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 유형과 리더와의 나이차가 리더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pptx


목차
1.연구 및 이론적 배경

2.방법 및 절차

3.결과

4.논의

본문
유교문화
연장자에 대한 존중
연장자에게 암묵적으로 책임 부과
기존 리더십 연구
리더십 유형이 미치는 과제 수행 또는 신뢰감에 집중 & 나이는 통제

왜 나이 차이인가?

리더의 자격기준이 나이만은 아님
우리 문화 특성상 나이에 민감
어린 리더가 발휘할 수 있는 효과적 리더십


권력의 사용 방식에 따른 리더십 구분
의사결정, 목표설정 과정에 구성원들의 권력 인정X
권위적 리더십
민주적 리더십
의사결정, 목표설정 과정에 구성원들의 권력 인정O

나이차이에 따른 권력의 유무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준거적, 합법적 권력이 주어진다. (French & Raven, 1959)


키워드
나이차, 리더, 만족, 리더십

노사분규 사례 분석

노사분규 사례 분석
노사분규 사례 분석.docx


목차
Q1. 무노조경영을 기본이념으로 하는 삼성에서는 노조에 가입한 직원은 조회 등에서 제외시키는 등 노조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한 견해는?
Q2. 협력적인 노사관계의 사례는?
Q3. 상대적으로 힘이 있는 회사가 노조를 상대로 탄압한 사례는 어떤 것이 있나요?
Q4. 한국적 노사관계 특징과 환경은?
Q5.노사분규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국회의 고용노동부를 들을 수 있다. 그렇다면 고용노동부는 노사분규에 관련에서 어떤 문제들을 해결해주는지?
Q6.노동조합에 대한 이미지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데, 이에 대한 견해는?
Q7.노사 분규가 발생하면 사용자 측이나 노동자 측 서로에게 큰 손실이 간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노사 분규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껴진다. 노사 분규의 예방 방법이 있다면, 무엇이 있는가?

*참고자료


본문
Q1. 무노조경영을 기본이념으로 하는 삼성에서는 노조에 가입한 직원은 조회 등에서 제외시키는 등 노조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한 견해는?

A1. 삼성은 노동조합을 인정해야 한다. 노조가 등장한 것은 '인간존중', '공존공영'정신을 경영기본으로 삼고 '노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영환경을 조성하자는 초기의 의도가 퇴색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삼성의 무노조경영은 더 이상 고 이병철 회장의 경영철학의 부산물로 나타나는 철학적 무노조경영이 아닌 노조를 불필요한 제3자로 인식하고 무노조경영을 목표로 하는 정책적 무노조 경영이 된 것이다. 이런 정책적 무노조경영은구시대적일뿐 아니라, 삼성 SDI사업장에서 근로하다 직업성 암을 얻은 근로자들에 대한 비인간적인 처우, 협력사의 근로기준법에도 미치지 못하는 열악한 근로환경 등을 보았을 때 노동자에 대한 탄압에 가깝다.
탄압에 의한 무노조 상태 유지는 노사관계를 악화시킬 수밖에 없으며, 이는 성과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노사협의회를 두고 있다고는 하지만 비정규직 및 단순노동직 근무자에게는 투표권을 부여하지 않는 등 노동자권익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했다.
또한 헌법에서도 인정한 노동조합을 기업에서 인정하지 않고 탄압하는 것은 명백한 위법이다. 그런데도 이것을 문제 삼지 않는 것은 권력과의 유착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유착이 있었다면 한국 최대의 기업으로서 불명예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삼성은 글로벌기업이라는 네임밸류에 맞게 적법한 활동에 대한 탄압을 멈추고, 노조를 인정하여 노사관계개선을 위해 힘쓸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안동규, 『합리적 노사관계 방향에 관한 연구: 노조유무 및 노사간 이해관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이의규 일본의 노사 분규 예방 및 해결 제도 , 노사분규 예방을 위한 국제 포럼, 한국 노동 교육원

이정택 『혁신하는 자만이 미래를 연다』, 한국노동교육원 1996.

'전모 드러나는 이마트의 노조 탄압' - KHAN 미디어로그

최종태, 한국 노사관계의 변천과 전략적 선택. 2008.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충돌을 유발하라?: 노조탄압의 달인, 삼성이 간다』, 비정규 노동Vol.- No.98, 2012
허찬영 『협력의 결실』, 한국노동교육원 1997.

허찬영 "영국의 노사 분규 예방사례", 노사분규 예방을 위한국제포럼, 한국 노동 교육원 1999.

http://www.moel.go.kr/submain.jsp?cate=7 고용노동부


키워드
노사, 분규, 사례, 노사분규, 분석

유학에서의 정직의 리더십

유학에서의 정직의 리더십
유학에서의 정직의 리더십.pptx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문제의 원인

Ⅲ. 주제 설정 및 유학에서 찾은 정직의 리더십

Ⅳ. 정직의 현대적 사례

Ⅴ. 제도적 보완점




본문
총학생회 대표의
정직 (正直) 부재

1. 과정보다 결과 중시
2. 사리사욕 추구

주제 설정

子曰, 人之生也直,
罔之生也, 幸而免.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사람이 살아가는 도리는
정직에 있으니
이것을 무시하고 살아가면 요행이
화를 면할 뿐이다.
논어, 옹야(雍也)편

유학에서 찾은 정직의 리더십
노자와 공자를 통해 배우는 리더의 덕목

가. 수기의 실현

名不正, 則言不順, 言不順, 則事不成.
명분이 바르지 않으면 말이 떳떳하지 못하고,
말이 떳떳하지 못하면 일을 이룰 수 없다.
논어, 자로(子路)



* 명분 (名分): 신분에 따라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나. 리더의 정직성

子曰 富與貴 是人之所欲也나 不以其道로 得之어든 不處也.
공자가 말했다. 부와 귀는 사람들이 원하는 바이나,
그 도리로서 그것을 얻은 것이 아니면 처하지 아니한다.
논어, 이인(里仁)편



君子懷德, 小人懷土. 君子懷刑, 小人懷惠
(부당한 이익 앞에서)
군자는 덕을 생각하나 소인은 이득을 생각하고,
군자는 벌받을 것을 생각하나 소인은 혜택 입을 것을 생각한다.
논어 제 4편 이인 (里仁)

⇒ 사리사욕 챙기지 않기 (청렴의 자세)


키워드
리더십, 정직

리더쉽 힐러리

리더쉽 힐러리
리더쉽 힐러리.docx


본문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거리를 보면 옷의 유행을 알 수 있고, 백화점 화장품 코너 몇 곳만 둘러보면 유행하는 화장스타일을 알 수 있다. 서점 베스트셀러 코너도 이와 마찬가지인 듯 하다. 한창 자기 개발 서적이 인기일 때가 있는가 하면 살아가는 이야기를 쓴 수필집이 인기일 때도 있다. 몇 년 전 서점에서는 한창 힐러리 클린턴 바람이 불었다. 고등학생이었던 나도 문제집을 사러 서점에 들러서 '여자라면 힐러리처럼' 이라던지 '힐러리 파워' 같은 책들에 혹 해 사서 읽곤 했다. 그녀는 남편인 빌 클린턴을 대통령으로 만드는 데 큰 이바지를 했고 남편의 재위 기간 동안은 건강 보험 개혁에 힘을 쏟았다.

하고 싶은 말
참고자료로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키워드
리더쉽, 힐러리

정신보건 기관 및 사회복지 시설 조사

정신보건 기관 및 사회복지 시설 조사
정신보건 기관 및 사회복지 시설 조사.pptx


목차
Ⅰ. 정신질환자

1. 정의
2. 현황
3. 정신질환자가 겪는 문제들

Ⅱ. 정신보건사업
1. 비전 및 기본방향
2. 추진방향
3. 정신보건서비스전달체계
4. 추진 사업

Ⅲ. 정신보건기관, 시설
1. 정신보건기관, 시설 현황
2. 정신보건 관련 기관

Ⅳ. 사회복귀시설 '디딤터'
1. 시설개요
2. 사업목적
3. 사업대상
4. 조직현황
5. 입소/이용 비용
6. 프로그램

Ⅴ. 청원군 정신건강 증진센터
1. 대상 및 목적
2. 소재
3. 프로그램

Ⅵ. 정신보건 사회복지사
1. 도입 배경 및 필요성
2.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기준
3.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업무의 범위 및 한계

정신건강 수칙

Q&A


본문
1. 정의

정신보건법상 정신질환자 라 함은 정신병(기질적 정신병)을 가진 이를
포함한다. 또한 인격 장애 알코올 및 약물중독 기타 비정신병적 정신장애를
가진 자를 말한다.

WHO(세계보건기구) - 통일된 진단기준 및 국제적 통계, 분류를 할 수 있는
질병분류의 시도가 행해지고 있음.

제9회 수정국제질병분류(제9회 수정ICD)

(1) 기질성 정신병상태 : 노년기 및 초로기, 알콜ㆍ약물에 의한 정신병상태 등
(2) 기타의 정신병 : 정신분열병, 조울병, 기타의 비기질성 정신병 등
(3) 신경증, 인격이상 및 기타의 비정신병성 정신장애 : 신경증, 인격이상,
성적도착과 성적장애, 알콜의존, 약물의존, 급성스트레스반응, 부적응반응,
기타 미분류 행위장애, 정신지체 등으로 분류된다.

.
.
.
.
2. 추진방향

1)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개선 및 정신질환자 권익증진

▷ 정신보건시설의 정신질환자 인권보호 대책
▷ 정신질환자 ) 인권침해 방지 및 권익보호

2)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인 정신보건서비스 제공

▷ 정신보건센터 확충 및 운영 지원
▷ 지역정신보건 시범사업 실시
▷ 자살예방대책 수립 시행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운영 지원
▷ 알코올중독자에 대한 치료 재활체계 강화
▷ 마약중독자에 대한 치료 보호지원 체계 강화


 
3)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조기검진 및 조기중재

▷ 아동 청소년들의 주요 정신건강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사례별로 맞춤형 사후 관리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청소년 정신건강증진 및 건강한 성장 도모
▷ 교육과학기술부와 연계하여 아동 청소년 우울증,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등 선별검사 및 사례관리 확대
▷ 학교, 보건소, 정신보건센터, 의료기관 등 상호연계 및 의뢰체계 구축
▷ 고위험군 아동 청소년에 대한 낙인에 주의하여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

4) 정신보건시설의 요양 및 치료 환경 대폭 개선
▷ 정신요양시설 운영 내실화 및 여건 개선

5) 정신보건사업 기반 구축
▷ 정신보건서비스 전달 및 연계 체계 강화
▷ 중앙 및 지방 정신보건사업지원단 기능 활성화 및 연계체계 강화



키워드
보건, 복지, 사회, 사회복지, 정신보건, 기관

조직행동론 학습이론, 강화이론과 조직행동수정

조직행동론 학습이론, 강화이론과 조직행동수정
[조직행동론] 학습이론, 강화이론과 조직행동수정.pptx


목차
1.학습의 의의와 정의

2.학습이론

3.강화이론과 조직행동수정


본문
학습의 의의

지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 하여야만 생존할 수 있다.
진화론자들은 자연선택을 생명체가 살아남을 수 있는 원동력이라고 강조한다.

자연선택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행동을 만들어내는 놀라운 기제이지만 한계도 있다.

자연선택의 한계

바람직한 특성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속도가 느려 급변하는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힘들다.
진화에 따른 변화는 시대흐름에 의해 뒤쳐진다.

따라서,

유기체가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기제로 진화하는
자연선택 이외의 것이 학습이다.

학습 = 행동의 변화

변화를 포함한다.
변화는 상대적으로 영구적이어야 한다.
구체적인 행동과 관련된다.
직 간접적 경험이 수반된다.

경험을 통해 획득되는 영구적인 행동의 변화를 의미한다.

고전적 조건화

파블로프(Pavlov)에 의해 연구된 조건반사 이론에 근거를 둔다. 파블로프 이론은 일정한 조건화 과정을 거치면 동일한 반응이나 새로운 행동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고전적 조건화의 한계

인간의 반사적인 행동을 설명하는 측면이 강하지만,
조직 구성원의 행동은 이처럼 단순하지 않다.
반사적이기 보다는 주도성을 지니고 적극적으로 행동한다.


키워드
조직, 이론, 학습이론, 조직행동론, 조직행동수정, 행동론

한국화교에게 한국, 중국, 타이완의 의미 연구

한국화교에게 한국, 중국, 타이완의 의미 연구
한국화교에게 한국, 중국, 타이완의 의미 연구.pptx


목차
1.서론 : 화교에 대해서

2.본론
- 중화인민공화국과 한국화교와의 관계
중화민국과 한국화교와의 관계
한국과 한국화교와의 관계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
서론: 화교정의 & 현황

본국을 떠나 해외 각처로 이주하여 현지에 정착, 경제활동을 하면서 본국과 문화적 사회적 법률적 정치적 측면에서 유기적인 연관을 유지하고 있는 중국인 또는 그 자손.

중화인민공화국과 한국화교의 관계 -50년대 이전

임오군란 (1882)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 치외법권/청국인 점포 개설 권리/호조 가진 자 개항장 밖의 내륙통상권과 연안무역권 인정
→ 산둥반도와 인천항 사이 정기적 배 운행으로 화교 왕래 빈번, 화교인구 증가 (주로 직물 수입, 수입 잡화, 옷감 장사, 피혁 조산 토산품 수출 등 )

중화인민공화국과 한국화교의 관계 -1894청일전쟁

일본이 청일전쟁에 승리 조선에 대한 주도권 감소

청나라 내부 혼란으로 화교인구 한국 유입

화교들의 적응력, 정착성, 근면함으로 화교 성장
일본기업 국내 진출, 일본인들이 화교 고용 선호 → 화교 급속도로 성장


중화인민공화국과 한국화교의 관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동아시아 냉전체제
국공내전 공산당 중국본토 차지, 국민당 타이완으로 철수

중화인민공화국 이주 억제 정책(출국 자체 금지)

정부 수립 이후 모든 친미국가를 적성국으로 간주하는 외교정책

한국전쟁 참전 →거의 30년간 단절의 벽

배경: 1980년부터 중국의 태도 변화 감지
- 주변 정세 안정과 경제발전이 국가의 최대 목표로 설정
- 대한민국 급속한 경제성장 관심 등
- 1989년 냉전의 종식

내용: 상호불가침, 상호내정불간섭, 중국의 유일합법정부로 중화인민
공화국 승인, 한반도 통일문제 자주적 해결원칙 등

귀교교권권익보호법

중화인민공화국 귀교교권권익실행방법

- 귀교, 교권의 합리적 권리와 이익 보호
- 화교, 귀교, 교권 의 개념 정의, 모든 차별의 폐지를 명확히 규정
- 교포들의 사단설립권
- 귀교들에 대한 농장이나 임업장 설치와 경영 원조
- 화교와 교권들의 공상업 자본투자에 대한 지방정부 지원
- 세제면에서의 우대
- 귀교학생, 귀교자녀 및 화교의 중국 국내 진학, 취직 배려
- 친척 방문을 위한 출국 보장
- 국외 정착 보장



참고문헌
1990년대 이후 한국 화교정책에 대한 다문화적 고찰(여병창, 곽영초 / 학술논문 / 중국학연구회 / 2012년)
동아시아 현대사 속의 한국화교(왕언메이 / 송승석 / 학고방 / 2013.06.27)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8&news_seq_no=126498
http://news.donga.com/List/Series_70030000000709/3/70030000000709/20130205/52819878/1 
http://blog.naver.com/nickstyle?Redirect=Log&logNo=7349272
http://m.epochtimes.co.kr/news/view.html?category=183&no=129689§ion=182&style=title
http://cafe.daum.net/2010sociology/U89S/43?q=%C7%D1%BC%BA%C8%AD%B1%B3%C7%F9%C8%B8&re=1




키워드
의미, 한국, 중국, 타이완, 연구, 한국화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