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1일 수요일

노사분규 사례 분석

노사분규 사례 분석
노사분규 사례 분석.docx


목차
Q1. 무노조경영을 기본이념으로 하는 삼성에서는 노조에 가입한 직원은 조회 등에서 제외시키는 등 노조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한 견해는?
Q2. 협력적인 노사관계의 사례는?
Q3. 상대적으로 힘이 있는 회사가 노조를 상대로 탄압한 사례는 어떤 것이 있나요?
Q4. 한국적 노사관계 특징과 환경은?
Q5.노사분규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국회의 고용노동부를 들을 수 있다. 그렇다면 고용노동부는 노사분규에 관련에서 어떤 문제들을 해결해주는지?
Q6.노동조합에 대한 이미지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데, 이에 대한 견해는?
Q7.노사 분규가 발생하면 사용자 측이나 노동자 측 서로에게 큰 손실이 간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노사 분규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껴진다. 노사 분규의 예방 방법이 있다면, 무엇이 있는가?

*참고자료


본문
Q1. 무노조경영을 기본이념으로 하는 삼성에서는 노조에 가입한 직원은 조회 등에서 제외시키는 등 노조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한 견해는?

A1. 삼성은 노동조합을 인정해야 한다. 노조가 등장한 것은 '인간존중', '공존공영'정신을 경영기본으로 삼고 '노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영환경을 조성하자는 초기의 의도가 퇴색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삼성의 무노조경영은 더 이상 고 이병철 회장의 경영철학의 부산물로 나타나는 철학적 무노조경영이 아닌 노조를 불필요한 제3자로 인식하고 무노조경영을 목표로 하는 정책적 무노조 경영이 된 것이다. 이런 정책적 무노조경영은구시대적일뿐 아니라, 삼성 SDI사업장에서 근로하다 직업성 암을 얻은 근로자들에 대한 비인간적인 처우, 협력사의 근로기준법에도 미치지 못하는 열악한 근로환경 등을 보았을 때 노동자에 대한 탄압에 가깝다.
탄압에 의한 무노조 상태 유지는 노사관계를 악화시킬 수밖에 없으며, 이는 성과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노사협의회를 두고 있다고는 하지만 비정규직 및 단순노동직 근무자에게는 투표권을 부여하지 않는 등 노동자권익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했다.
또한 헌법에서도 인정한 노동조합을 기업에서 인정하지 않고 탄압하는 것은 명백한 위법이다. 그런데도 이것을 문제 삼지 않는 것은 권력과의 유착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유착이 있었다면 한국 최대의 기업으로서 불명예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삼성은 글로벌기업이라는 네임밸류에 맞게 적법한 활동에 대한 탄압을 멈추고, 노조를 인정하여 노사관계개선을 위해 힘쓸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안동규, 『합리적 노사관계 방향에 관한 연구: 노조유무 및 노사간 이해관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이의규 일본의 노사 분규 예방 및 해결 제도 , 노사분규 예방을 위한 국제 포럼, 한국 노동 교육원

이정택 『혁신하는 자만이 미래를 연다』, 한국노동교육원 1996.

'전모 드러나는 이마트의 노조 탄압' - KHAN 미디어로그

최종태, 한국 노사관계의 변천과 전략적 선택. 2008.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충돌을 유발하라?: 노조탄압의 달인, 삼성이 간다』, 비정규 노동Vol.- No.98, 2012
허찬영 『협력의 결실』, 한국노동교육원 1997.

허찬영 "영국의 노사 분규 예방사례", 노사분규 예방을 위한국제포럼, 한국 노동 교육원 1999.

http://www.moel.go.kr/submain.jsp?cate=7 고용노동부


키워드
노사, 분규, 사례, 노사분규, 분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