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 속담을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hwp |
목차 1. 머리말 2. 속담의 정의와 특징 3. 속담을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필요성 4. 속담을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의의 5. 속담을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방안 6. 속담을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지도 시 유의점 7. 맺음말 참 고 문 헌 본문 1. 머리말 이제는 너무나 식상한 말이 되었지만,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운다는 행위는 거의 필수적인 일이 되어 버렸다. 급변하는 국제교류는 물론이고, 문화의 교류도 활발해진 지금,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은 급격하게 늘어났고, 현재도 급속도로 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어 교육의 핵심은 무엇일까?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의 학습 동기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한국어를 통한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일차적으로 원할 것이다. 다양한 상황에서 문법적, 어학적으로 오류가 없는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모든 외국어 학습이 그렇듯, 이것이 기본이다. 그러나 요즘은 거기에서 그치지 않고, 조금 더 확장된 개념의 한국어 학습을 원한다. 바로 문화적 요인에 대한 학습이 그것이다. 언뜻 보면 그 두 가지는 연관성이 없어 보이나, 실은 굉장히 큰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원하는 일차적 목표인 의사소통능력 향상은 문법이나 어휘 면에서의 교육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모든 언어가 그렇듯, 해당 언어에는 그 나라의(혹은 그 문화권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문화가 반영되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해당 문화능력이 뒷받침되어야 의사소통능력도 적정 수준 이상을 뛰어넘을 수 있게 된다. 의사소통능력과 문화능력, 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속담 교육이다. 짧은 문장으로 어떤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고, 속담 자체가 바로 그 사회 문화의 응집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속담의 정의와 특징, 속담교육의 필요성 및 의의, 그리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과 지도 시 유의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양민정 (2009) 속담을 활용한 다문화가정의 한국어/문화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김영만 (2010)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고급반 수업 구성 방안, 한말연구 제27호 최권진 (2007)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교재 개발의 실제, 상명대학교 임은하 (2009) 한국어 학습자의 속담 오류유형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키워드 한국어, 문화교육, 한국어교육, 교육, 통한 |
2017년 10월 7일 토요일
한국어교육 속담을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
한국어교육 속담을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