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업수익성이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 1. 변수의 선정 2. 연구표본의 구성 및 처리과정 3. 실증결과의 해석 Ⅱ. 기업경영진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Ⅲ. 기업생산전략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Ⅳ. 기업특성이 해외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Ⅴ. 기업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 가설1: 기업문화(7S)는 종사원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가설2 : 기업문화(7S)는 경영자 집단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가설3 : 기업문화(7S)는 전체집단의 직무만족도를 유의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Ⅵ. 기업내부능력과 팀운영이 신제품개발에 미치는 영향 Ⅶ. 기업환경과 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 연구의 요약 2. 연구의 의의 참고문헌 본문 Ⅰ. 기업수익성이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 1. 변수의 선정 기업의 收益性이 기업의 資本構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 기존의 實證硏究들을 살펴보면 그 사용된 收益性 變數와 負債比率이 그 상호관계를 부적절하게 표현하는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즉, 屬性의 적절한 對應値로서의 變數 선정과 그 變數 상호간의 관계가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결정될 때 객관적인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부적절함이란 帳簿上 收益性比率을 측정할 때 資産 또는 總資本을 분모로 하여 負債比率을 계산할 경우의 문제이다. 예를 들면 丈夫上 收益性이 높은 기업은 貸借對照表上의 대변 항목에 많은 利益剩餘金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利益剩餘金을 포함하는 總資産 또는 總資本으로 기업의 收益性을 측정하면 測定値가 기업의 實質 收益性을 저평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많은 株式發行超過金과 같은 資本剩餘金의 貸借對照表 항목을 포함하는 기업의 경우에도 總資産 또는 總資本을 분모로 하여 기업의 收益性을 측정하면 測定値가 기업의 實質收益性을 낮게 평가하는 오류를 가져올 것이다 ≪ 중 략 ≫ Ⅱ. 기업경영진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MT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실증적 논의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는 문제가 TMT 특성과 조직성과 간의 역인과성(reverse causality)에 관한 것이다(Bantel & Jackson, 1989; Finkelstein & Hambrick, 1990; Priem, 1990; Smith, et. al., 1994). 즉, 조직성과가 나쁘기 때문에 TMT의 구성(composition)자체가 문제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TMT 구성에서의 문제로 인해서 조직성과가 떨어지는 것인지 그 인과관계가 분명치 않다는 것이다. 이것은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TMT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시도함으로서 어느정도 해결될 수 있다고 본다 참고문헌 ◇ 김정화(2010), 기업내부역량이 기술혁신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 백윤정(1997), 경영진의 지식특성과 대외연결능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 신민식 외 1명(2011), 기업의 수익성이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 유영등(2011), 제조기업의 글로벌 생산전략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 이상춘(2003), 관광기업문화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 레저학회 ◇ 최병구 외 1명(2010), 지식경영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키워드 기업, 수익성, 자본, 경영진, 조직성과, 기업수익성 자본구조 영향, 전략 경영성과 영향, 기업경영진특성 조직성 |
2017년 2월 1일 수요일
기업영향기업수익성 자본구조 영향, 기업경영진특성 조직성과 영향, 기업생산전략 지역사회 영향, 기업문화 직무만족도 영향, 기업내부능력과 팀운영 신제품개발 영향, 기업환경과 전략 경영성과 영향 분석
기업영향기업수익성 자본구조 영향, 기업경영진특성 조직성과 영향, 기업생산전략 지역사회 영향, 기업문화 직무만족도 영향, 기업내부능력과 팀운영 신제품개발 영향, 기업환경과 전략 경영성과 영향 분석
학생체벌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의미, 의의,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인정범위, 기준규정,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필요요건, 낙인효과,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쟁점, 사례
학생체벌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의미, 의의,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인정범위, 기준규정,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필요요건, 낙인효과,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쟁점, 사례
목차 Ⅰ. 서론 Ⅱ.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의미 Ⅲ.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의의 Ⅳ.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인정범위 Ⅴ.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기준규정 1. 교사의 훈계나 반복적인 지도에 변화가 없는 경우 2. 남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신체 정신 인격적 피해를 입히는 행위 3. 다른 학생을 이유 없이 괴롭히는 경우 4. 남의 물건 및 물품을 의도적으로 손상시키는 행위 5. 학습태도가 불성실한 경우 6. 본교에서 운영하는 벌점규정에 의하여 벌점기준을 초과했을 경우 Ⅵ.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필요요건 Ⅶ.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낙인효과 Ⅷ.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쟁점 Ⅸ.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사례 1. 서울OO초등학교 사례 2. 경기 OO초등학교 사례 Ⅹ.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몇몇 교사들은 아이들의 훈육을 위해 체벌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인다. 이러한 교사들은 모든 사람의 인격은 존중되어야 하지만 아이들의 인격은 아직 미완이기 때문에 인격을 완성을 위해서는 스승의 가르침과 훈육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아이들의 인격은 나이나 경험에 차이에 따라 존중받지 않아도 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미완성의 인격이 완전한 인격으로 자라기 위해서는 아이들에게 인격적인 존중이 먼저 보장되어야 한다. 아이들은 자신이 존중받는 것이 어떤 것인지 잘 알고 있으며 남을 존중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그것을 통해 잘 알 수 있기 때문이다. ≪ 중 략 ≫ Ⅱ. 학생체벌(학교체벌, 교사체벌)의 의미 학생 체벌 규정에 의해 매, 기합, 노력 봉사 중 1개를 선택하여 벌을 받도록 한 것이나, 대부분의 학생이 매에 위한 체벌을 원했으므로 체벌이란, '길이 60㎝ 지름 1.5㎝ 이내의 회초리로 학생의 손바닥이나 둔부를 때리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김옥길 /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는 체벌문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1 손희권 / 중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학생 체벌 대안, 한국아동권리학회, 2002 정호승 / 초등학교 교사의 학생체벌에 대한 인식, 수원대학교, 2011 지대창 / 교사의 자아개념과 체벌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1989 추미나 / 교사의 체벌과 정당성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2002 한상운 / 체벌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01 키워드 학생, 체벌, 학교, 교사, 낙인효과, 학생체벌, 학교체벌, 교사체벌 |
기업도시기업도시 개발특별법기업도시 노동권침해기업도시의 유형, 기업도시의 진행과정, 기업도시의 기업 사회적 책임, 기업도시의 개발특별법, 기업도시 노동권침해, 기업도시 쟁점, 향후 기업도시 방향
기업도시기업도시 개발특별법기업도시 노동권침해기업도시의 유형, 기업도시의 진행과정, 기업도시의 기업 사회적 책임, 기업도시의 개발특별법, 기업도시 노동권침해, 기업도시 쟁점, 향후 기업도시 방향
목차 Ⅰ. 서론 Ⅱ. 기업도시의 유형 1. 기업도시의 유형 2. 전경련에서 구상 중인 기업도시의 유형 Ⅲ. 기업도시의 진행과정 Ⅳ. 기업도시의 기업 사회적 책임 Ⅴ. 기업도시의 개발특별법 Ⅵ. 기업도시의 노동권침해 1. 전경련 안 2. 문제점 1) 평등권의 침해 2) 중간착취의 합법화, 노동3권의 형해화 초래 Ⅶ. 기업도시의 쟁점 1. 기업도시의 유치 vs. 기업의 유치 1) 지방자치단체의 기업도시 유치 경쟁 2) 수요기업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도시 가능성 2. 산업자본과 부동산 자본의 결합 1) 기업도시를 통한 산업자본과 부동산 자본의 결합 2) 부동산 자본을 통한 산업자본의 위험 보완 3) 산업자본과 부동산자본간의 재결합을 통한 기업집중 강화 3. 기업에 의한 도시개발과 기업경쟁력 1) 기업에 의한 도시개발 구상의 문제 2) 도시개발과 기업경쟁력간의 관계 4. 지역균형발전과 기업도시 1) 기업도시 유치목적의 변경 2) 장소의 발전 vs. 주민의 복지 3) 지역균형발전과 기업도시 추진간의 갈등 5. 기업도시 건설과 일자리 창출 1) 기업도시의 일자리 창출 규모 2) 도시개발의 주체와 일자리 창출 규모 3) 일자리의 공간적 이전 효과 4) 창출되는 일자리의 성격 5) 건설업 중심 일자리 창출의 한계 6. 개발이익의 발생과 처리 1) 부동산개발이익 사유화와 지역균형발전간의 trade-off 2) 민간자본에 의한 개발과 보상 문제 3) 토지수용권 발동 여부 7. 노사문제의 해결 Ⅷ. 향후 기업도시의 방향 1. 정부의 기본방향 2. 특별법 제정 추진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산업화는 필연적으로 사회의 도시화를 수반하게 되며 산업화와 도시화는 서로가 서로에게 인과작용의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급속하게 진전되어 나감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렇게 산업화에 수반하는 대규모 노동력의 집적으로 이루어지는 도시화는 필연적으로 그 도시에 광범위한 임금노동자를 형성하게 된다. 공업화와 도시화의 상관관계에 있어 고전적 의미에서는 도시화가 선행한다. 다시 말해서, 어떤 지역이 행정 상업 교통의 중심지로 발달하여 인구가 모여들고 도시화가 이루어진 연후에 이들 인구를 찾아서 공장이 들어서는 것이 일반적인 과정이다. 물론 공장이 들었고 공업화가 진행되면 도시화가 공업화는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켜 급격히 도시화가 팽창하는 것도 일반적인 예이다. ≪ 중 략 ≫ Ⅱ. 기업도시의 유형 1. 기업도시의 유형 - 기업도시는 주체, 경제활동의 내용, 발생원인, 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함 기업도시의 유형 ≪ 표 ≫ 2. 전경련에서 구상 중인 기업도시의 유형 - 민간주도형, 단일제품 생산도시, 계획적 기업도시, 완전개발형 기업도시, 단일기업형 중심도시, 신도시형을 상정하고 있음 참고문헌 곽강희, 프로빗모형을 활용한 관광레저 기업도시 방문결정요인분석,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0 김흥석,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기업도시 건설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6 김항석, 기업도시 유치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발전학회, 2005 성소미, 기업도시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법적 검토, 한국부동산연구원, 2005 조운희,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기업도시 구성 사업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9 최원회, 행복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 등 다핵형 국토공간 형성을 위한 정책추진 평가와 과제, 대한지리학회, 2007 키워드 기업도시, 기업, 도시, 개발특별법, 노동권침해, 기업도시의 진행과정, 기업도시의 노동권침해, 기업도시의 쟁점 |
중소기업 전략중소기업 전자상거래 전략, 중소기업 중국진출 전략, 중소기업 채용 전략, 중소기업 ERP(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 전략, 중소기업 자생 전략, 중소기업 경영 전략, 중소기업 자금조달 전략 분석
중소기업 전략중소기업 전자상거래 전략, 중소기업 중국진출 전략, 중소기업 채용 전략, 중소기업 ERP(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 전략, 중소기업 자생 전략, 중소기업 경영 전략, 중소기업 자금조달 전략 분석
목차 Ⅰ. 중소기업 전자상거래 전략 1. 요인분석 2. 기업특성과 전자상거래 전략 및 기업성과간의 관계분석 1) 기업특성과 전자상거래 전략과의 관계분석 2) 전자상거래 전략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분석 Ⅱ. 중소기업 중국진출 전략 Ⅲ. 중소기업 채용 전략 1. 자사가 원하는 인재상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알려라 2. 비금전적인 보상을 강화하라 3. 독특한 경력개발에 자기 회사가 유리함을 알려라 4. 자사 특성에 맞는 채용방법을 구축하라 5. 인사전문가를 보강하라 6. 역선택(adverse selection)을 피하라 7. 채용을 기업의 장기경영계획 및 인력계획과 연계하라 Ⅳ. 중소기업 ERP(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 전략 1. ERP 도입 전략 1) 자체 개발 2) ERP 도입 3) ASP 이용 2. ERP 구축 전략 1) 사전준비 단계 2) ERP 구축 단계 : 실행 및 컨설팅 3) 서비스 실시 단계 3. ERP 운영전략 1) ERP 하부구조 2) ERP 모듈 3) 업무처리 과정 Ⅴ. 중소기업 자생 전략 1. 스미다구(흑전구)의 지역경제진흥정책 사례 2.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례만들기 운동 Ⅵ. 중소기업 경영 전략 1. 국내 M&A의 현황 2. 형태별 M&A의 종류 1) 경쟁모델에 따른 M&A 2) 자산지배권 취득에 따른 M&A 3) 재원조달방법에 따른 M&A Ⅶ. 중소기업 자금조달 전략 1. 중소기업의 자금조달구조 2.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 3. 신용보증 지원 4.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유도 1) 한국은행 총액한도대출제도(9조 6천억 원) 2) 중소기업 의무대출 비율제도 3) 기타 지원제도 5. 정책자금 활용을 위한 기본절차 6. 융자지원(중기청 소관) 7. 기술개발지원 8. 투자지원 참고문헌 본문 Ⅰ. 중소기업 전자상거래 전략 1. 요인분석 중소기업의 경영기술환경, 경영자 IT관련특성, 전자상거래 전략 및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보다 더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에 의하여 중소기업의 경영기술환경, 경영자 IT관련특성, 전자상거래 전략 및 기업성과에 대한 공통요인을 추출하고, 요인을 구성하는 설문항목의 요인점수(factor scor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공통요인의 추출에는 주성분분석과 Varimax 회전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개별요인을 구성하는 설문항목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 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결과에 의하면, 경영기술환경은 시장불확실성, 제품(상품)의 기술협력정도, 제품(상품)의 기술수준 등 3개의 요인으로, 경영자 IT관련특성은 IT경영인식과 IT지식 등 2개 요인으로 나타낼 수 있었고, 전자상거래 전략은 시장확대전략, 비용절감전략 등 2개의 요인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고유치(Eigen Value)의 값이 1 이상이라는 조건으로 선택되었을 때, 개별특성에 대한 요인의 설명력이 각각 67%, 72%, 69%로 적절하게 요인이 구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기업성과는 제품(상품)품질성과, 재무성과 등 2개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개별특성에 대한 요인의 설명력이 68%로 적절하게 요인이 구분되었다고 본다. 한편, 개별 특성에 대한 설문항목의 Cronbach s α 계수는 모두 일반적인 수용 범위 0.7 이상으로 나타나 개별 특성에 대한 설문항목의 신뢰도는 대체로 높은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기업특성과 전자상거래 전략 및 기업성과간의 관계분석 1) 기업특성과 전자상거래 전략과의 관계분석 경영기술 환경요인과 IT관련 경영자특성요인과 시장확대전략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시장확대전략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R2는 41.4%(수정 R2=29.7%)로 나타났으며, 도출된 회귀방정식의 유의성을 결정하는 F값은 3.53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회귀방정식이라고 할 수 있다(p=0.015). 기술수준요인(β=-0.462, p=0.011)은 시장확대전략에 대해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자 IT경영인식요인(β=0.494, p=0.009)은 시장확대전략에 대해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들은 경쟁사와 비교하여 자사 제품(또는 상품)의 기술수준이 높고, 첨단기술의 집약도가 높을수록 인터넷 전자상거래 도입과 관련한 신규시장 확대 및 고객서비스 향상 등의 효익을 기대하는 시장확대전략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영자가 기업 내 변화를 수용하고, 새로운 경영기법, IT 및 정보시스템의 도입을 선호할수록 시장확대전략에 대한 기대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기술환경요인과 IT관련 경영자특성요인과 비용절감전략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용절감전략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R2는 33.0%(수정 R2=19.6%)로 나타났으며, 도출된 회귀방정식의 유의성을 결정하는 F값은 2.459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회귀방정식이라고 할 수 있다(p=0.061). 시장불확실성요인(β=0.448, p=0.012)과 기술협력정도요인(β=0.373, p=0.064)이 비용절감전략에 대해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주요 제품(또는 상품)에 대한 시장상황이 불안정하고, 시장에서의 경쟁정도가 높으면서, 주요 고객의 수요가 불안정할수록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영업거래의 비용감소, 문서처리비용의 감소, 유통비용의 절감 등의 효익을 기대하는 비용절감전략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학연 협력을 통한 기술수용정도가 높고, 외부와의 기술제휴가 많으며, 기술개발 투자비가 과다할수록 연구개발에 따른 비용부담이 커질수록 비용절감전략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전자상거래 전략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분석 전자상거래 전략들과 재무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무성과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R2는 17.6%(수정 R2=12.1%)로 나타났으며, 도출된 회귀방정식의 유의성을 결정하는 F값은 3.20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회귀방정식이라고 할 수 있다(p=0.055). R2값이 다소 낮게 나타내고 있는 것은 본 연구에서 채택하고 있는 전략들 이외에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시장확대전략(β=0.303, p=0.077)과 비용절감전략(β=1.750, p=0.090)은 재무성과에 대해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장확대전략에 따른 매출증대효과와 비용절감전략에 따른 비용절감효과가 높을수록 재무성과는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자상거래 전략들과 품질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도출된 회귀방정식은 유의성을 결정하는 F값이 0.637로 참고문헌 김태형 외 1명(2003) - 중소기업 경영전략 유형과 기업성과간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안동대학교 경영연구소 이완구(2010) - 중소기업 ERP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부의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정남기(2009) - 중소기업 자금조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산업경제학회 조세형 외 2명(2004) - 중소기업 전자상거래의 활성화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청(2008) - 중소기업 중국진출 성공률제고를 위한 정보제공지원 강화, 한국개발연구원 중소기업진흥공단 전국이업종교류연합회(1997) - 중소기업 채용정보 총람, 중소기업청 키워드 중소기업 전략, 전자상거래, 중국진출, 채용, ERP |
기업소비자마케팅활동기업과 소비자의 의의, 기업과 소비자의 효용, 기업과 소비자의 스포츠 스폰서십(스폰서쉽), 기업과 소비자의 마케팅활동, 기업과 소비자의 패러디사이트, 향후 기업과 소비자 방안
기업소비자마케팅활동기업과 소비자의 의의, 기업과 소비자의 효용, 기업과 소비자의 스포츠 스폰서십(스폰서쉽), 기업과 소비자의 마케팅활동, 기업과 소비자의 패러디사이트, 향후 기업과 소비자 방안
목차 Ⅰ. 개요 Ⅱ. 기업과 소비자의 의의 1. 기업은 우리사회에서 어떤 일을 하는가 2. 기업의 이윤, 곧 거래이익은 왜 필요하나 3. 기업은 왜 있어야 하나 Ⅲ. 기업과 소비자의 효용 1. 효용, 총효용 2. 평균효용 3. 한계효용 Ⅳ. 기업과 소비자의 스포츠 스폰서십(스폰서쉽) Ⅴ. 기업과 소비자의 마케팅활동 1. 소비자주의와 마케팅활동 1) 마케팅관리철학 2) 소비자주의에 따른 마케팅관리철학의 발전과정 2. 소비자주의와 광고 1) 광고에 대한 개관 2) 광고에 대한 비판 3) 소비자주의에 따른 광고의 변화 3. 허위 과장광고의 실태 Ⅵ. 기업과 소비자의 패러디사이트 Ⅶ. 향후 기업과 소비자의 방안 1. 마케팅활동에 대한 기업의 자세 1) 마케팅활동에 대한 소비자주의의 의식 2) 마케팅의 재평가 2. 광고에 대한 기업의 자세 본문 Ⅰ. 개요 헤세드의 첫 번째 브랜드인 BHC는 컵 속에 컵을 겹쳐 두 가지 아이템을 한 컵에 넣을 수 있도록 개발된 이중컵과 그 컵의 이용가치를 다양한 메뉴에 접목해 히트한 프랜차이즈 사업이다. 이 프랜차이즈 BHC는 설립 4년여 만에 600여 개의 가맹점을 확보하는 개가를 올렸다. 특히 BHC의 키즈 마케팅은 제품 기획에서부터 빛을 발했다. 컵 하나에 음료와 스낵을 동시에 담아 휴대하기 쉽게 만든 '콜팝치킨'은 하교 길 어린이들 사이에 큰 인기를 끌었다. 콜팝치킨에 고무된 BHC는 두 사람이 동시에 빨아야 음료를 먹을 수 있는 커플 스트로를 개발, 어린이들에게 '재미있는 패스트푸드'란 인식도 심어줬다. 헤세드가 최근 문을 연 맥주전문점 '큐즈(Q's)'는 철저히 여성취향으로 꾸며 성공한 경우이다. 큐즈의 마케팅 컨셉트는 '여성들이 좋아할 맥주 전문점'이다. 여왕들의 공간이란 의미의 'Queen`s Zone'에서 따온 브랜드가 말해 주듯이 큐즈는 여성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진 공간이다. ≪ 중 략 ≫ Ⅱ. 기업과 소비자의 의의 1. 기업은 우리사회에서 어떤 일을 하는가 우리 사회에서 기업은 무슨 일을 하는가? 그리고 왜 필요한가? 누가 이렇게 묻는다면 쉽게 답하기가 어렵다. 우리 교과서를 보면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집단이라고 아주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극히 단순요약한 말의 한 부분에 불과하다. 코끼리 다리만 만지고 다리는 곧 코끼리다 하는 말과 같다. 기업이 이윤을 얻기 위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기업 본질은 무엇을 팔기 위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팔아서 이익을 얻어야 그 파는 일을 계속할 수가 있다. 기업이 무엇을 판다는 것은 그 무엇을 사려는 사람들이 우리 사회에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나준희 외 2명, 기업과 소비자의 관계의 질이 공익연계 마케팅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2009 나종연, 기업의 소비자교육 사례를 통해 살펴본 소비자교육에서의 기업의 역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6 백지원, 기업 소비자상담사의 상담업무평가 및 만족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05 이수진, 디자인에 의한 기업과 소비자의 자아 상호작용,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정석태 외 2명, 기업시민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1 최명규, 기업-소비자 관계에서의 역할 갈등이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사회과학연구원, 2008 키워드 기업, 소비자, 스포츠 스폰서십, 마케팅, 패러디, 기업과 소비자의 의의, 기업과 소비자의 효용, 소비자의 마케팅활동 |
중소기업 협력중소기업 경제협력중소기업 기술협력중소기업 협력관계중소기업 경제협력(APEC, 경제협력개발기구), 중소기업 기술협력, 중소기업 협력관계, 중소기업 협력성과, 중소기업 협력증진 분석
중소기업 협력중소기업 경제협력중소기업 기술협력중소기업 협력관계중소기업 경제협력(APEC, 경제협력개발기구), 중소기업 기술협력, 중소기업 협력관계, 중소기업 협력성과, 중소기업 협력증진 분석
목차 Ⅰ. 중소기업 경제협력(APEC, 경제협력개발기구) 1. APEC 경제협력과 중소기업의 중요성 2. APEC의 중소기업 논의 Ⅱ. 중소기업 기술협력 1. 기술협력 : 승인도와 대여도 2. 관계특수적 기술투자와 성과배분 Ⅲ. 중소기업 협력관계 1.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관계의 개념 2.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관계의 중요성 1) 모기업(대기업) 측면 2) 수급기업(중소기업) 측면 3) 국민경제 측면 Ⅳ. 중소기업 협력성과 1. 성과배분과 인센티브제도 2. 인센티브제도의 운영실태와 문제점 Ⅴ. 중소기업 협력증진 참고문헌 본문 Ⅰ. 중소기업 경제협력(APEC, 경제협력개발기구) 1. APEC 경제협력과 중소기업의 중요성 1989년에 출범한 APEC은 무역 및 투자의 자유화와 원활화를 추진하는 한편 경제성장과 운용에 있어서 APEC 회원국들이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경제 및 기술협력(Ecotech)을 추진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경제 및 기술협력사업 13개 분야의 하나로서 1996년 11월의 필리핀 수빅에서 열린 APEC 정상회담에서는 향후 중점적으로 논의추진되어야 할 경제 및 기술협력사업 6대 과제중의 하나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APEC에서의 중소기업에 관한 논의는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정치경제적 의미외에도 중소기업은 APEC 각 회원국의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고용기회의 창출이라는 면에서 볼 때 중소기업의 중요성은 특히 눈에 띄는데 중소기업은 APEC 회원 각국 고용의 44%-84%에 달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중국, 칠레, 일본, 한국, 태국의 중소기업의 고용 점유율은 70%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국제 무역에서도 중소기업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경우 중소기업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6%에 이르고 있고 중국의 경우는 수출의 50%, 한국은 수출의 42.8%에 달하고 있다. 한편 경제성장에 있어서도 중소기업의 중요성이 점증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중소기업이 시장의 상황에 매우 신축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소비자 기호가 빠르게 변화하고 다양화됨에 따라 기업은 더욱 특수하고 다양한 소비자 기호에 맞는 제품을 생산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중소기업은 변화하는 소비자의 기호와 다양화된 요구에 신속하고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급변하는 시정경제에서 그 역할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자본집약적인 산업에서의 최적생산단위의 축소로 말미암아 중소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범주는 더욱 확대되었다. 즉 통신기술을 포함한 기술의 변화로 인하여 규모경제의 중요성은 감소되어 가고 있고, 따라서 중소기업이 대기업과도 경쟁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국가에 따라 중소기업은 급속한 기술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산업부문에서 기술혁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대만, 미국, 일본의 경우를 살펴보면 중소기업에 의해 기술개발 및 기술혁신이 빈번히 이루어짐으로써 중소기업이 산업고도화와 경제성장에 첨병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결국 중소기업의 발전은 중소기업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말미암에 국민경제의 후생증진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고도화되고 다양화되어 가는 현대 산업사회에서 경제성장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중소기업정책의 수립과 시행을 위해서 APEC 각국의 중소기업의 실태와 중소기업정책 그리고 각 회원국의 중소기업의 당면 과제를 분석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더욱이 APEC 회원국들의 중소기업과 중소기업정책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APEC 중소기업협력에 나설 때 우리는 더욱 많은 것을 중소기업 협력사업을 통해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중소기업 수출확대 및 해외투자 증대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 APEC의 중소기업 논의 APEC 역내의 중소기업 진흥과 활성화에 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1993년 시애틀 정상회담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이는 아.태지역의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활성화가 필수적이라는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현재까지의 중소기업 관련의 APEC 활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PEC에서 중소기업 관련 활동을 논의하기 위하여 1994년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Jakarta)와 조그자카르타(Jogjakarta)에서 2회에 걸친 전문가회의가 개최되었다.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가 1994년 일본의 오사카(Osaka), 1995년 오스트레일리아의 애드레이드(Adelaide), 1996년에는 필리핀의 세부(Cebu)에서 3차에 걸쳐 개최되었다. 1994년 제1차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의 권고에 의하여 전문가회의를 중소기업정책자회의(Ad-hoc Policy-level group on SMEs)로 승격시키고 1995년에 2회, 1996년에 2회에 걸친 그룹회의가 개최되었다. 제1차 AP 참고문헌 김영석(2008) : 중소기업 창업 지원 제도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김영조(2005) : 중소기업의 기술협력 활동이 기술혁신 성과 및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소기업학회 김진한 외 1명(2011) : 중소기업의 개방형 기술협력성과, 한국생산관리학회 신준희(2010) :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관계연구, 인하대학교 이경탁 외 1명(2008) : 중소기업간 협력활동이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통상학회 전인우(1999) : 대 중소기업 협력증진 방안, 한국경제연구원 키워드 중소기업 협력, 중소기업, 경제협력, 기술협력, 협력 |
중소기업중소기업 기술 투자중소기업 기술 연구회중소기업 기술 관련용어중소기업 기술의 중요성, 중소기업 기술의 능력, 중소기업 기술의 투자, 중소기업 기술의 연구회, 중소기업 기술의 용어 분석
중소기업중소기업 기술 투자중소기업 기술 연구회중소기업 기술 관련용어중소기업 기술의 중요성, 중소기업 기술의 능력, 중소기업 기술의 투자, 중소기업 기술의 연구회, 중소기업 기술의 용어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중소기업 기술의 중요성 Ⅲ. 중소기업 기술의 능력 Ⅳ. 중소기업 기술의 투자 Ⅴ. 중소기업 기술의 연구회 Ⅵ. 중소기업 기술의 관련용어 1. 주관기업 2. 위탁연구기관 3. 개발참여기업 4. 과제책임자 5. 연구원 6. 관리기관 7. 총사업비 8. 정부출연금 9. 기업부담금 1) 현물 2) 현금 10. 착수금 11. 잔여금 12. 사업비잔액 13. 정산회수금 14. 기술료 15. 인건비 16. 직접개발비 17. 간접개발비 18. 개발보전비 19. 위탁개발사업비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기술시스템의 내부적 동학(internal dynamics), 즉 유인 메커니즘, 제도, 활동주체들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정책수행과정 등을 파악하고자, 미국의 MEP시스템과 한국의 중진공시스템을 대표적인 사례로 삼아서 분석하였다. 미국의 MEP시스템과 한국의 중진공시스템을 중심으로 하여 양국간의 접근방법을 비교.요약해보면 양국간 가장 핵심적인 차이점을 든다면, 그것은 미국의 경우에 중소기업에게 기술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경제주체들이 협력 및 상호작용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그 네트워크의 강도가 매우 높은 반면에, 한국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한국에는 중진공 시스템을 비롯하여 정부에 의해 인위적으로 창출된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시스템들이 산재하고, 이업종교류회 등 민간에 의한 TI가 구축되어 왔지만, 그때그때의 필요에 따라 선진국의 사례를 모방하여 산발적으로 진화되어 왔기 때문에 시스템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이 갖추어 있지 못하다. 지금까지의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TIP에 대한 앞으로의 정책방향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첫째, 양국의 경험은 공히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시스템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으로 존속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기술서비스제공자가 중소기업과의 신뢰를 유지하면서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풀기 위한 필요조건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는 전시효과를 노린 일회성 정책을 지양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관성 있게 TIP를 추진해야 한다. 둘째, 정책당국은 필요할 때마다 산발적으로 시행되어온 기술확산관련 프로그램들을 기술시스템 관점에서 재정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기술확산프로그램들이 중소기업에게 제공하는 기술능력, 즉 TI를 먼저 규정하고, 이의 중복과 비효율성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전체적인 기술확산시스템이 재구축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행정부내 각 부처가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기술이전능력, 기술흡수능력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고, 초기단계에 있는 디자인능력, 환경기술능력 등에 초점을 맞춘 기술시스템들은 보강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순한 시장실패 보정적인 정책보다는 선별적인 정책수단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즉 특정한 산업 및 지역 혹은 기능적인 영역이 정책목표가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특정한 기술능력이 하나의 정책목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TI를 체화하는 인적 및 물적 자본하부구조, 그리고 제도적 하부구조의 구축과 관련하여 활동주체나 참여기관들간의 보다 빈번하고도 밀접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네트워크의 구축을 중시해야 한다. 이는 미국의 MEP시스템에서 보았듯이 되도록 많은 수의 중소기업들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관들과의 연계 및 협력을 통한 지렛대효과(leverage effect)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필요조건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각종 기관을 포함하는 기술시스템 참여자들간 교량역할을 수행하는 주체가 있어야 한다. TI가 공공재로서 시장실패가 발생하는 분야이므로 당분간 이 역할은 정부기관이 담당할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정부는 공공정책기법뿐만 아니라 기술, 경제, 기업경영에 관한 지식을 포함하는 학제적인 기법을 갖추어야 하며, 다른 경제주체의 행동을 유발하게 하는 실질적인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을 토대로 정부는 기업간 컨소시엄을 효과적으로 조직하는 방법, 기업-대학간 협력의 적정한 형태, 기술센터가 이윤센터로 기능하는 정도에 대한 조직적인 문제 등을 명시적으로 취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하나는 협력문화(cooperation culture)이다. TI구축의 성공여부는 기술시스템 내에서 참여주체들이 정보를 서로 나누고 공유하려는 자발성과 신뢰성 정도에 달려 있다. 이는 TI가 집단적 노력의 실체이며, 중소기업들과 기술서비스 제공기관들이 지속적으로 교류하는 학습의 장이기 때문이다. 협력에 필요한 거래비용과 위험이 큰 한국에 대해서는 중요한 시사점이 아닐 수 없다. 넷째, 중소기업의 기술능력은 기업활동을 영위하는 지역의 지역혁신시스템(regional innovation system)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전략적인 지역거점을 통한 지렛대효과를 살릴 필요가 있다. 이는 기술확산프로그램의 개발을 지도하고, 다양한 기관들간의 협력을 유도하며, 최상의 관행(best practice)을 추출하여, 이를 지역거점을 통해 전국적으로 이전.흡수시키는 국가적인 체제의 구축을 의미한다. 물론 산업자원부가 추진하는 TBI, 중진공시스템 등 기존 시스템에서도 지역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지는 않지만, 지역간 및 대학간 균형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자원의 전략적 집중이라는 측면에서 지렛대효과를 가져올 지에 대해서는 참고문헌 ○ 김주환(2010), 중소기업 기술금융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 박문수 외 1명(2012), 혁신형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지원정책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 박성준(2006), 중소기업 기술혁신지원정책의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 이승희 외 3명(2007), 중소기업 기술혁신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임재현 외 1명(2012),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관리요소에 관한 실증연구, 기술경영경제학회 ○ 장지호 외 1명(2006), 중소기업 기술지원에 있어서의 정부출연연구소의 활용문제, 한국벤처창업학회 키워드 중소기업 기술, 중소기업, 기술, 투자, 연구회 |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