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가문화 연구.pptx |
목차 1.과거의 종가문화 1.1 형성배경 1.2 문화 특성의 발달 1.3 종가문화의 위기 2. 현재의 종가문화 2.1 종가문화의 변화 2.2 종가의 현대적 특성 2.3 남아 있는 명문종가 3. 영상 소개 및 분석 3.1 영상소개 3.2 상황 분석 3.3 인물 분석 4. 동아시아의 종가 4.1 중국과 일본의 종가 문화 4.2 동아시아 종가 사례 5. 결론 및 제언 본문 1.1 형성배경 중국 종법 수용 (삼국시대 초기) -혈연 공동체 의식 -공동 운명체 의식 주자의 '가례' -가제(家制)가 사대부가 사이에 정착되면서 종법에 의한 구분이 자세하게 요구 - 공양왕 : 사대부에게 종자를 명확히 하도록 함 장자 상속제도 (조선 중기) - 대종과 소종 형성 - 가족 집단 통합 종법제 (중종) - 혈연이 아닌 지위에 의한 승계 - 적계(嫡系)중심의 정통론(正統論) 문묘배향 (조선 건국 초기) - 국가의 정신적 종통 확립 대종가 : 원래 성씨의 시조의 장자로 이어지는 가문 소종가 : 뛰어난 인물이 중시조가 되어 파종된 가문 불천위: 국불천 + 향불천 - 문묘 배향이 결정된 사람의 위패를 영구히 사당에 모심 불천위 조상에게 제사 조상을 기리고 배향하는 사람들을 대접 문묘에 배향된 조상의 정신을 배우고 후대에 전승 1 ㅣ 가부장제도 가부장적 가족제의 확립 = 가계의 근원을 이루는 제사의 계속 가부장 : 제사장의 역할을 담당 여성이 가정의 사적 영역에서 기능한 경우 : '종부' 2 ㅣ 일부일처제와 적처권 조선사회에서는 적처권을 보장하고 적자를 보호하여 혼인관계를 신분집단 내에서 유지하려고 함 적처와 나머지 처들 간의 위계를 정해 차등화 적자녀와 서자녀 17세기 이후에는 점차 입양방식의 종법제도로 발전 - 적자우대상속 혼인 : 여성을 교환함으로써 가문과 가문 간의 관계가 맺어지고 자녀를 둠으로써 혈연으로 유대를 돈독히 하는 사회현상 조선조의 종가는 혼사는 유림사회에서 가장의 친분관계가 가격(家格)으로 이루어지곤 함 우리사회에서는 전통적으로 친족집단에게 공동책임을 물음 문중은 집단공동체로서 개인에게 집단형벌을 내리는 기능 문벌내용 중에 가장 강력한 벌칙은 '소외' 사회의 지배계층 = 사대부 집안 혈연과 신분에 기초한 지배질서 유지 종법의 핵심 = 적장자에 의한 종통의 계승 키워드 문화, 종가, 종가문화, 연구 |
2016년 5월 28일 토요일
종가문화 연구
종가문화 연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