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31일 화요일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
카프의 형성과 전개과정.hwp


목차
Ⅰ. 서론

Ⅱ. 한국문학사 - 개인과 사회의 발견 (4장 5절)

Ⅲ.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요약
제 1부 프로문학을 중심으로 한 문예비평
제 1장 프로문학의 성립
제 1절 팔봉, 회월의 활약
1) 팔봉 회월의 정신적 상황
2) 팔봉, 회월의 평론
3) 계급문학시비론
제 2절 조직
1) 염군사
2) PASKYULA(파스큘라)
3) KAPF (카프)
4) 조직론의 논거
제 2장 논쟁-자체 내의 문제점
제 1절 마르크스주의문학론
1) 그들의 문학관
2) 외재적 비평형태
제 2절 내용과 형식논쟁
1) 논쟁의 발단
2) 내용 형식의 본질
3) 형식의 중요성에 대한 시비
4) 결산
제 3절 목적의식론
제 4절 아나키스트와의 논쟁
제 5절 대중화론
1) 「전기」파의 대중화론
2) 팔봉의 대중화론
제 6절 농민문학론
제 7절 창작문학론(Ⅰ)
1) 창작방법론의 의미
2) 소련에 있어서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논의
3) 일본에 있어서의 창작방법논의
4) 한국에 있어서의 창작방법논의
5) 결산
제 8절 창작문학론(Ⅱ)

Ⅳ. 맺음말

Ⅴ.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1920년대 조선에서의 사회주의 사상의 확산은, 프롤레타리아문학의 유입과 확산의 시대적 배경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는 당시 지식층의 일부가 사회주의 사상이 일본의 식민통치에서 벗어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파스큘라>와 <염군사>를 토대로 한 사회주의 성향의 예술 활동은 자체 내에서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시대적 요청으로 인해 조직적인 차원에서 새로운 단일 조직을 결성하게 된다. 이것이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이다. 약칭으로는 KAPF , 국문으로는 '카프'라고 적었다. 본고에서는 KAPF의 성립 배경을 프로문학의 초기이론을 도입한 인물인 팔봉과 회월의 활약과 KAPF의 조직과정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또한 KAPF가 자체 내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펼친 여러 논쟁들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논쟁의 항목으로는 내용, 형식론, 목적의식론, 대중화론, 아나키스트 논쟁, 농민문학론, 창작방법론이 있다.


Ⅱ. 한국문학사 - 개인과 사회의 발견

1920년대 식민지 지식인들은 서구에 버금가는 것, 일본적인 것으로서의 지적 호기심에 무방비 상태로 개방되어 있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점 속엔 다음 두 가지 사실이 내포된다. 사회과학적 서적에 대해 갖는 지적 호기심과 전위예술에의 호기심이이다. 임화는 전위예술과 사회과학의 결합을 온몸으로 밀고 나간 한 지식인과 그 실패의 궤적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임화의 대표 시집 『현해탄』(1939) 이전의 시는 서구적, 일본적 사상과 사고에 무방비로 감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가적, 서사적 내부 공간을 획득하게 되었다. 이러한 계열의 시를 팔봉 김기진은 프로 서사시로 규정하여 프로 문학의 새로운 타개 방법으로 높게 평가하였다. 이는 당시 대두된 프로 문학의 대중화론과 직결되어 있다. 대중화론이란 프로 문학이 노동자 농민의 독점물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지식인 작가가 쓰고 또 지식인 독자만이 읽을 수 있는 작품으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단적 현실은 프로 문학이 극복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점 중 하나였다. 실상 노동자 농민들은 여전히 육전 소설의 애독자였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KAPF의 지도부에서는 방향 전환과 함께 대중화론이 심각히 제기되었다. 팔봉이 보기엔 임화의 그 서사시적인 긴 시가 프로문학의 대중화에 돌파구를 제기한 것으로 판단되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1. 기본서적 :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민음사, 2009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일지사, 2002
2. 참고서적 : 김영민, 『한국근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1999


키워드
전개과정, 전개, 과정, 카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