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1970년대 문학의 특징.hwp |
목차 Ⅰ. 서론 Ⅱ. 산업화 시대의 문학 Ⅲ. 70년대 주요 작가들 1. 사회 변동과 소설적 상상력의 대응 1) 산업사회 소설 - 황석영, 윤흥길, 조세희 2) 분단 소설 - 윤흥길, 김원일 3) 농촌 소설 - 이문구 2. 70년대 시의 특징 1) 민중시와 민중적 상상력을 강조하는 흐름 2) 관념과 기법과 정서를 강조하는 흐름 3) 경험적 진실성을 강조하는 흐름 Ⅳ.결론 Ⅴ. 참고문헌 Ⅵ. 부록 본문 Ⅰ.서론 1970년대의 한국 사회는 급속한 산업화의 과정에 들어서면서 여러 가지 사회 변동을 겪게 되었다. 산업화 과정에서 이루어진 한국 사회의 새로운 변화 모습은 모두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노동계층의 반발, 지역 간 갈등, 새로운 사회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치권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들에 대해서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지 않았고, 강력한 통제로 일관함으로써 사태를 더욱 악화 시켰다. 이러한 상황은 1980년대 중반 까지도 계속되어 사회 전반에 걸친 불만과 갈등이 더욱 심화되기에 이르렀다. 산업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문제들은 문학에도 많은 영향을 끼쳐 그 시대의 문학을 '산업화 시대의 문학'이라고 명명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문학은 한국 사회의 변화와 갈등 상황을 곧바로 문학의 영역에 끌어들였다. 이 시기 문학의 정신적 지향이 문학사적인 의미에 큰 획을 긋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문학 활동의 사회적 확대, 문학적 주제의 이념화 경향, 민족문학의 방향 정립의 가능성확보 라는 세 가지 사실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소설에서는 70년대의 도시화, 산업화 등의 사회 변동으로 인한 소외된 계층의 삶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더 나아가 분단소설과 농촌소설에 대해 살펴보겠다. 그리고 70년대 대표적인 시 흐름인 민중시 계열, 관념시 계열, 경험적 진실성 강조 계열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Ⅱ.산업화 시대의 문학 1. 민족문학의 논리와 실천 1) 민족문학의 재인식 산업화 시대의 문학에서 가장 대두된 민족문학에 대한 다양한 논의는 문학을 통해 새로운 역사의식의 인식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그 존재의 정당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 이유는 이 시기의 민족문학론이 그 이전 시대에 이루어진 민족문학에 대한 논의와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그 차이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 째, 문학에 대한 민족적인 자기 논리를 정립하고자 하는 주체적 노력이 구체화 되었다는 점이다. 이 시기의 문학은 민족문학의 자기 정립을 위해 민족문학론의 성격 자체를 전환하는 노력도 불사하였다. 또한 문학을 통해 민족적 독자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민족적 정서의 불변성을 문제 삼기도 하였다. 둘 째, 1970년대 이후의 민족문학론은 비평적인 논리의 전개 과정이 문학적 성과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소설의 경우 리얼리즘 방법에 대한 논의의 성과에 알맞은 양적 확대는 작가들의 관심의 확대로 영향을 미치면서 그 시기의 갈등문제를 문학적으로 심화해 나갔으며, 시의 경우 시적 세계와 경험적 현실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시적 언어의 폐쇄적 관념성을 해체시키면서 일상어의 세계로 접근했다. 셋 째, 이 시기의 민족문학론은 문학 활동의 사회적 확대를 촉진시켰다는 점이다. 문학이 치열하게 삶의 중심으로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독자층과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그 파급효과가 더 강해졌다. 참고문헌 *기본서적 고은, 『高銀詩全集』, 민음사, 1983. 김원일, 『노을』. 문학과 지성사, 2005. 김지하, 『五賊: 김지하譚詩모음집』, 동광출판사, 1987. 김지하, 『타는 목마름으로: 김지하 詩選集』, 창작과비평사, 1982. 신경림, 『농무』, 창작과비평사, 1971. 신경림, 『새재』, 창작과비평사, 1979. 오규원, 「순례의 서」, 『순례』, 문학동네, 1997. 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문학과 지성사, 1997. 윤흥길, 『장마』, 민음사, 2005. 이문구, 『관촌수필』, 랜덤하우스코리아, 2004. 이문구, 『암소』, 중앙M&B, 2004.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문학과 지성사, 1993. 황동규, 「바다로 가는 자전거들」,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文學과 知性 詩 選』, 文學과 知性社, 1978. 황동규, 「태평가」, 『풍랑』, 나남출판, 1994. 황석영, 『客地』, 창작과비평사, 1974. *참고문헌 강영미, 「소외된 생활인의 발견-신경림론」,『1970년대 문학연구』, 민족문학사연구소 현 대문학분과, 2000. 공광규, 『신경림 시의 창작방법 연구』, 푸른사상, 200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2』, 민음사, 2002. 김경숙, 「1970년대 김지하 시 연구」,『1970년대 문학연구』, 소명출판, 2000. 김주연, 「죽음과 행복한 잠-고은의 70년대」,『고은 문학의 세계』, 창작과비평사, 1993. 김지선, 「한국 모더니즘시의 서술기법과 주체 인식 연구 :김춘수, 오규원, 이승훈 시를 중 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2009. 김혜니, 「맺힘과 품, 긴장과 이완의 카타르시스-신경림론」,『시대를 건너는 시의 힘:70년 대 우리 시 읽기』, 소명출판사, 2005. 김혜니, 『한국현대시문학사연구』, 국학자료원, 2002. 맹문제, 『한국의 민중시 문학사』, 박이정출판사, 2001 박혜경, 「토종의 미학, 그 서정적 감정이입의 세계」,『신경림 문학의 세계』, 창작과비평 사, 1995. 신경림, 「나는 왜 시를 쓰는가」,『삶의 진실과 시적 진실』, 전예원, 1983. 이건청, 「절망의 심연과 방대한 힘의 언어-고은의 시 세계,」, 『해방후 한국 시인 연 구』, 새미, 2004. 이기성, 「공포에의 눈뜸과 가면의 시-황동규론」, 『1970년대 문학연구』, 소명출판, 2000. 이봉범, 「1970년대 농민문학론과 농민소설」, 『1970년대 문학연구』, 소명출판, 2000. 이숭원, 『교과서 시 정본해설』, 휴먼앤북스, 2008. 이승우, 「뫼비우스의 띠, 혹은 대립과 갈등을 넘어서는 초월적 상대주의 조세희의 <난장이 가 쏘아올린 작은공>」, 새가정사, 2000. 이승훈, 「미적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인식-1960년대와 1970년대의 시」, 『한국문학50 년』, 문학사상사, 1995. 최현식, 「현실의 각성과 시의 자기 확장」,『1970년대 문학연구』, 소명출판, 2000. 하정일, 「산업화 시대의 민족문학」, 『1970년대 문학연구』, 소명출판, 2000. 한계전, 홍정선, 윤여탁, 신범순 외, 『한국 현대시론사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8. *참고논문 김동현, 「윤흥길의 <장마>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의 해체방식」, 우리문학회, 우리문학연구 제 25집, 2008. 강영미, 「김지하 담시의 운율 단위와 그 형성 자질」, 『어문논집』, 안암어문학회, 1998. 강정구, 「김지하의 서정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김명심, 「1970년대 윤흥길 소설의 인물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안은희, 「김광규 시의 일상성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2005. 오성호, 「김지하론-미로 속의 길찾기」, 『현대문학의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1998. 이동순, 「조태일 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논문, 2008. 최용석, 「1970년대 산업 사회의 문제 의식과 그 극복 방안에 대한 고찰」, 중앙어문학회, 어문론집, 제 28집, 2000. 키워드 년대, 국문학사, 문학, 특징 |
2017년 8월 15일 화요일
국문학사 1970년대 문학의 특징
국문학사 1970년대 문학의 특징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