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20일 목요일

의료사회복지 척수손상

의료사회복지 척수손상
[의료사회복지] 척수손상.hwp


목차
1.척수손상의 개념 및 분류

2. 척수손상의 원인 및 문제

3. 치료 방법

4. 사회적 지원

5. 환자에 대한 이해

6. 사례

7.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본문
1.척수손상의 개념 및 분류(SCI)
⑴개념
인간의 신경계는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로 구분된다.
중추 신경계에는 뇌와 척수, 말초 신경계에는 중추신경계에서 시작되어 뻗어 나온 운동신경, 감각신경, 자율신경 등이 있으며, 이들이 인간의 감각이나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척수는 중추 신경계의 일부분으로 뇌와 신체 사이에 운동 신경과 감각신경의 정보가 오고가는 고속도로와 같은 곳이다.
척수는 척추에 의해서 보호되고 있는데, 척추는 우리 몸의 기본 형태를 이루는 중요한 골격으로 모두 33개의 척추 뼈로 구성된다. 목을 이루는 목뼈(경추)가 7개, 등뼈(흉추)가 12개, 허리뼈(요추)가 5개로 되어있으며 그 밑으로는 골반을 이루는 엉치뼈(천추) 5개와 꼬리뼈(미추) 4개가 있다. 이렇게 이들 개개의 척추는 서로 맞물려 뒷부분에 척추관(Spinal cannal)을 형성하며, 그 속에 뇌에서부터 내려오는 중요한 중추신경인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것이다. 즉 척추는 뼈이며 척수는 신경인 셈이고, 척수는 뇌의 연장이다. 신경세포와 섬유의 다발에서 척수가 나와, 뇌와 근육, 피부, 장기를 이어준다. 척수는 마치 전신선과 같이 작용하여 뇌와 신체 사이에서 양방향 통신을 매개한다. 척수에서 31쌍의 신경세포 쌍이 뻗어 나와 각 신체 부위에 다양한 수준으로 확장된다. 척수의 상단 부분에서 분기, 재분기한 신경은 상반신, 팔, 손으로 연결된다. 척수의 하단 부분에서 분기, 재분기한 다른 신경은 골반, 허벅지, 종아리, 발로 연결된다. 이 31쌍의 신경세포는 척수를 드나드는 주요한 통로의 역할을 한다. 말초신경이란 척수에서 더 분기되어 나간 것으로써, 피부 표면, 근육, 혈관, 뼈 등 머리에서 발끝까지 몸 전체 모든 곳에 분포되어 있다.
위의 말했듯 척수는 신체와 뇌사이의 주요 정보 전달통로이다. 척수손상으로 전달통로가 끊어지게 되면 뇌에서 신체 말초부위까지 운동신호가 전달되지 못하고 신체 말초부위에서 뇌로 올라오는 감각신호도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척수는 중추신경으로 한번 파괴되면 척수에는 슈반세포가 없기 때문에 다시 재생되지 않는다.
척수가 손상되면, 뇌와 척수신경의 신경자극 차단을 초래하는 척수의 압박 혹은 탈구에 의해 손상 이하의 상, 하지가 부분적 또는 완전히 마비되며, 경직성 마비와 감각의 손실 등이 온다. 사지마비는 경추의 손상에 따라 체간과 사지가 마비되는 것이며, 하지마비는 T10 이하의 척수손상으로 하지의 운동과 감각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척수손상은 자율신경계를 방해하고, 뇌는 이 계통의 기능을 더 이상 조절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혈압이나 체온조절시스템이 달라질 수 있고, 소화기, 성기, 방광의 작용이 변화할 수 있다. 더불어 부교감신경의 아랫부분과 교감신경의 일부, 또는 사지마비의 경우에는 교감신경 전체가 차단되기 때문에 뇌는 더 이상 조화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자율신경계의 단절은 사지마비 환자에게 더 심각한 의미를 내포한다. 또, 척수 손상의 영향으로 더 이상 반사 작용을 수정하거나 조절할 수 없다. 반사작용이 과장되어 경련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척수 손상은 완전할 수도 불완전할 수도 있다. 완전 척수손상이란 손상 위치 아래에 자발적인 움직임이나 감각이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불완전 손상은 일부 감각이나 자발적인 움직임이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척수손상이란 골격 근육의 마비를 뜻하고, 척수 손상에서 기능의 손실은 손상 위치 아래에서 일어나고 아래의 현상이 모두 또는 일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아래 <그림1>은 척추와 척수의 모습이고, <그림2>는 척수의 손상 위치의 따른 마비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키워드
척수손상, 의료사회복지, 손상, 의료, 사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