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6월 26일 월요일

사회심리 한국사회의 고정관념 및 편견과 차별

사회심리 한국사회의 고정관념 및 편견과 차별
[사회심리] 한국사회의 고정관념 및 편견과 차별.ppt


목차
고장관념/편견의 발생과 동학
인지적 측면/정서적 측면/사회 갈등적 측면/고정관념/편견의 유지 및 증폭 기제

한국사회의 편견과 차별: 성, 지역과 소수집단
성차별주의/지역 및 소수집단에 대한 고정관념/편견

편견과 차별의 감소
편경에 반하는 사례의 보편화/부조화를 이용한 편견의 감소/집단 간 접촉의 증가/범주화 방식에 의한 방법/조망 취하기 및 조망 확대

집단 간 행위의 설명: 사회정체감 이론
사회정체감 이론/집단정체감이 위협ㅂ다는 상황에서의 대처/사회정체감 이론과 문화


본문
3.집단 간 접촉의 증가

효과적인 접촉의 조건
동등한 지위에서 장기적으로 긴밀하게
상호 협조적인 의존관계 형성
잘못된 편견과 평등 규범 수용 및 합의

4.범주화 상식에 의한 방법
-탈범주화(생명적) 접근

탈범주화
상대집단 성원을 집단성원으로서 보지 않고 개인으로 보고 교류하는 방식

자연적으로 결성 X
사회문화심리적인 요소에 의해서 결성 O

한계
사람들이 대인지각에서 범주화를 하는것은 자동적인 현상


키워드
고정관념, 사회심리, 한국사회, 사회, 편견, 차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