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아동의 언어 발달과 특징 1. 1수준 (0~18개월) 1) 영아기 언어 발달 과정 2) 영아기 언어 발달을 위한 지침 2. 2수준, 3수준 (19개월~만 5세) 1) 유아기 언어 발달 과정 2) 언어 영역별 발달 3. 4수준 (만 6~7세) 1) 구어의 사용 2) 이야기 3) 읽기
Ⅱ. 언어습득이론 및 언어교수법 이해 1. 언어습득이론 2. 언어교수법 3. 언어 발달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을 위한 교수법
참고자료
본문 Ⅰ. 아동의 언어 발달과 특징 1. 1수준 (0~18개월) 영아들이 태어나서 세상에 적응해 나가고 세상과 소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언어 능력이다. 언어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영아들은 좀 더 주변을 잘 이해하게 되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면서 주변 환경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언어 발달은 영아의 주요 발달 과업이다. 그러나 영아기 언어 발달은 다른 발달 영역보다 특히 개인차가 크고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아, 문장의 길이, 언어의 이해, 어휘 수, 문장의 복잡성 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좀 더 복잡한 문장을 사용하고 어휘가 많으며, 말하기 시작하는 시기가 발달적으로 좀 더 빠르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대가족보다 핵가족의 경우, 발달 초기에 성인과 대화 시간이 적으므로 언어 발달이 지연된다는 보고도 있으나, 아직까지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족 자녀의 영아기 언어 발달에 대한 구체화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1) 영아기 언어 발달 과정 일반적으로 영아는 음성 언어를 획득하게 되는 12개월 전까지는 주로 비음성적인 형태로 의사소통을 하고, 18개월 전후가 되면 어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영아가 언어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음성체계, 의미체계, 문법체계, 화용체계에 대한 이해와 사용 능력의 획득이 필요한데, 영아는 1) 말소리에 대한 차이를 구별하고, 2) 이를 말할 수 있어야 하며, 3) 단어의 뜻을 이해하고, 4) 단어를 적절히 배열하여 문장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그 결과 영아는 5) 상대방에게 적절한 문장이나 제스처로 의사소통할 수 있게 된다. 영아의 언어 발달 과정은 크게 음성 언어 이전 시기와 음성 언어 획득 시기로 나누어진다.
(1) 음성 언어 이전 시기 ① 울음(crying) 갓 태어난 아기도 소리를 낼 수 있고, 울음으로 자신의 욕구를 표현한다. 생후 1개월부터는 울음 소리가 분화되어 영아의 욕구나 상태에 따라 울음 소리의 고저, 강도 등에서 차이가 난다. 양육자들은 울음 소리를 통해 아기가 배고픈지, 졸린지, 기분이 나쁜지, 아픈지 등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김영태(2002).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서울:학지사. 김윤옥(2005).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서울:교육과학사. 김윤옥(2006).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어휘획득전략. 서울:교육과학사. 나사렛대학교(2006). 전문가를 위한 인공와우이식과 언어재활 워크숍 I. 천안:동대학교. 남성우, 허용, 고명균, 진기호, 김재욱, 진정란, 정연희, 허경행, 박기선(2006). 언어교수이론과 한국어교육. 서울:한국문화사. 배소영(2006). 이야기 발달과 언어장애. 한국언어치료전문가협회, 일반아동 및 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특성 및 평가, 제26회 전문요원교육. 서울:동협회. 이금진 역(2007). 엄마도 할 수 있어요. 서울:학지사. 이승환 외(2001). 의사소통장애학 개론. 서울:하나의학사. 이영 외(2009). 영유아발달. 서울:학지사. 이영자(2006). 유아 언어 발달과 지도. 서울:양서원. 이현진, 박영신, 김혜리 역(2001). 언어 발달. 서울:시그마프레스. 이혜경(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장은미 외(2002). 놀이로 키우자. 서울:리빙아트. 장인실(2006). 미국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교육과정연구
하고 싶은 말 일반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좀 더 복잡한 문장을 사용하고 어휘가 많으며, 말하기 시작하는 시기가 발달적으로 좀 더 빠르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대가족보다 핵가족의 경우, 발달 초기에 성인과 대화 시간이 적으므로 언어 발달이 지연된다는 보고도 있으나, 아직까지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족 자녀의 영아기 언어 발달에 대한 구체화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