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17일 금요일

SHOWBOX 기업분석과 마케팅 전략

SHOWBOX 기업분석과 마케팅 전략
SHOWBOX 기업분석과 마케팅 전략.doc


목차
Ⅰ. 서 론
Ⅱ. 시장 분석과 경쟁사 분석
1. 전체 영화시장의 규모 및 추세
1.1 연도별 전국 극장, 스크린 수
1.2 연도별 한국영화, 외국영화의 점유율 1인당 관람횟수
1.3 연도별 극장매출과 총 관객 수 변화
2. 한국 영화시장 배급사별 점유율
3. 경쟁사 분석
3.1CJ E&M
3.2롯데엔터테인먼트
3.3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Ⅲ. 기업분석 1
1. 기업 브랜드 네임
2. 쇼박스의 연혁
3. 쇼박스 배급 흥행영화 및 흥행율 비교
4. 영화수익구조
5. 쇼박스 재무상태
Ⅳ. 기업분석 2: SWOT
1. 강점(Strength)
2. 약점(Weakness)
3. 기회(Opportunity)
4. 위협(Threat)
5. 쇼박스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Ⅴ. 대안1 : 브랜드 이미지 제고
1. 목표 및 방향설정
2. 쇼박스 기존 이미지
3. 기대 효과
4. 광고 타겟
5. 매체 선정
6. 광고 구성
6.1 광고의 흐름
6.2 광고 예시
6.3 예상되는 문제
Ⅵ. 대안2 : 부가판권시장(디지털 온라인 시장)으로의 진출 - 시장분석 및 진행방향
1. 부가판권시장의 정의
2. 부가판권시장(디지털 온라인 시장)으로 진출하는 이유
3. 부가판권시장에서 공연상품의 잠재성
4. 진행 과정
5. 부가판권시장 예상 소비자
Ⅶ. 대안2 : 부가판권시장(디지털 온라인 시장)으로의 진출 - 구체적 타겟과 4P
1. 부가판권시장 예상 소비자
2. 부가판권시장 진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
2.1 제품(Product)
2.2 가격(Price)
2.3 유통(Place)
2.4 프로모션(Promotion)
2.4.1 프로모션 범위
2.4.2 프로모션 전략
3. 기대효과
Ⅷ. 결론


본문
Ⅰ. 서 론



올해 11월 한국영화 관객 수가 1억 명을 돌파했다. 한국영화 사상 처음이다. 전체 영화 흥행작 순위도 도둑들, 광해, 왕이 된 남자,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내 아내의 모든 것, 늑대소년 등 한국영화가 상위 10위의 대부분을 석권했다. 2006년 정점을 찍은 뒤, 불황에 허덕이던 한국영화에 제2의 르네상스가 찾아왔다.
이러한 한국영화의 부흥 한 획에는 영화 제작에서부터 마케팅, 상영관까지 책임지는 배급사들이 있다. 국내 주요한 배급사로는 CJ 엔터테인먼트(CJ E&M), 쇼박스(주)미디어플렉스(이하 쇼박스), 롯데 엔터테인먼트로 1990년대 말 멀티플렉스 체인을 기반으로 투자-배급 영역에 진입을 성공한 기업이다. 이들은 투자-배급-상영을 아우르는 수직통합 체계를 형성하고 그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거의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쇼박스는 세 개 주요 배급사 중 유일하게 이러한 수직 유통망을 포기하고 2007년 자체 소유였던 멀티플렉스 체인인 메가박스를 매각했다. 이후 한국영화의 침체까지 겹치면서 쇼박스가 배급한 영화의 극장 점유율은 점차 낮아졌다. 업계 1위를 달리던 쇼박스였지만 2006년 괴물을 성공시킨 이후로 일년에 영화 한 편도 흥행시키지 못한 경우가 있을 정도로 매우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그러나 2012년은 이런 쇼박스에게 재도약을 하는 기회와 같았다. 타 배급사와 비교해 한국영화에 분명한 강세를 보이던 쇼박스는 2012년을 기점으로 다시 오름세를 타고 있다. 수직 유통망 없이도 시장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한 것이다. 한국 영화사에 있어 새 지평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오름세에도 쇼박스의 수익은 아직까지도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으며 모기업인 오리온에서 자금을 받아쓰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수익불안정성을 쇼박스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로 보았고 앞으로 쇼박스가 이를 타개하기 위해 어떠한 전략을 취해야 하는 지를 생각해보았다.


키워드
쇼박스, 한국, 부가, 판권, 한국영화, 분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