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26일 일요일

사회복지법의 수직적 체계

사회복지법의 수직적 체계
사회복지법의 수직적 체계.hwp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복지법의 지위
2. 사회복지법의 수직적 체계
1) 헌법
2) 법률
3) 국제조약
4) 명령
5) 자치법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
2. 사회복지법의 수직적 체계
1) 헌법
헌법은 국가적 공동체의 존재형태와 기본적 가치질서에 관한 국민적 합의를 규범적인 논리체계로 정립한 국가의 기본법으로서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의 근본조직, 통치기구 및 통치 작용 등을 규정한 국가최고의 근본법이다. 1987년 10월 29일 개정된 제10호 헌법은 전문과 10장 130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헌법은 최상위의 법규범으로서 전문에서 '국민생활의 균등한 향상'을 규정하고 제10조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ㆍ행복추구권을 비롯하여 평등권(제11조), 재산권의 공공복리 적합의무(제23조),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제34조), 교육을 받을 권리(제31조), 근로의 권리(제32조), 근로3권(제33조), 환경권(제35조), 혼인ㆍ가족생활과 모성의 보호와 보건권(제36조),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제119조) 등을 규정한데 이어, 국민의 기본권이 침해되었을 경우의 재판청구권(제27조), 국가배상청구권(제29조), 행정심판청구권(제107제), 위헌법률심판 및 헌법소원심판청구권(111조) 등을 규정한 것은 사회복지법의 존재양식으로서 최고의 위치에 있다.
2) 법률


참고문헌
- 최정섭, "사회복지법제론", 법문사, 2011
- 전국대학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개론", 유풍출판사, 2002
- 김형배, "민법학법전", 신조사, 2011


키워드
사회복지법, 수직적 체계, 사회복지법의 수직적 체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