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월 18일 목요일

영화 축제 감상문

영화 축제 감상문
영화 축제 감상문.hwp


목차
1.서론
-들어가는말
2.본론

-줄거리
-전통장례의 순서와 뜻
-한국인의 죽음관

3.결론
-영화의 이해
-나의 생각

본문
서론.
우리는 일정한 통과의례(通過儀禮)를 거쳐서 일생을 살아간다. 이러한 통과의례는 우리가 생활 속에서 흔히 말하는 관혼상제(冠婚喪祭)로 바꿔서 말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비록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아프리카의 여느 부족들처럼 일정한 성인식을 치루고 있지는 않지만, 우리는 일정한 나이가 되거나 사회적인 위치에 도달하면 성인으로 인정받는다.
즉 우리는 태어나서 성인으로 인정받은 후, 결혼을 하고 죽음을 맞는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 제사를 치러진다.
그러므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역시, 전통문화에서 말하고 있는 통과의례를 통해서 우리의 삶을 이야기 할 수 있다. 광범위한 통과의례를 관혼상제라고 한정시켰을 때, 본고에서 우리는 상례에 대해서 논의 해 보고자 한다. 다만, 이를 단순히 상례의 절차와 방법론적 입장에서 기술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영화 `축제`에 접목시켜서 이해 해보겠다. 그러므로 우리는 영화에 나오는 상례의 절차와 방법을 통해서 상례에 대해서 상기해보고, 영화의 제목이 왜 `축제`인지를 알아보자.


본론.
(줄거리)
유명 작가인 이준섭은 노모가 돌아갔다는 소식을 듣고 시골로 내려간다. 하지만 여러차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었던 노모이기에 준섭의 가족들은 황급히 서둘거나 슬퍼하는 기색이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한 번 살아났던 노모는 결국 새벽에 돌아가시고 장례는 시작이 된다.
노모의 죽음에 이준섭은 호상이라며 사람들에게 슬퍼하지 말라고 한다. 그것도 그런것이 노모는 5년간 치매환자로 가족들을 힘들게 했기 때문이다. 조문을 하러 사람들이 하나 둘 씩 모이기 시작하고 가족들의 손길은 분주해지기 시작한다. 그 가운에서 가족들은 작고 큰 갈등을 보인다. 그러던 중 갈등을 심화시키는 인물이 등장한다. 준섭의 이복조카 용순이 나타난 것이다. 가족들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용순이기에 용순의 등장에 가족들은 불편해 한다. 하지만 용순은 그런 가족들의 눈초리를 신경쓰지 않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할머니를 추모한다. 그러는 사이 가족들의 갈등의 골은 깊어져 간다.

하고 싶은 말
좀 더 업그레이드하여 자료를 보완하여,
과제물을 꼼꼼하게 정성을 들어 작성했습니다.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입자 분의 앞날에 항상 무궁한 발전과 행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홧팅

키워드
축제, 감상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