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공무원후생복지의 실시대상 Ⅲ. 공무원후생복지의 재원조달 1. 정부재정/경상경비 2. 정부재정/주요사업비 3. 공무원연금 복지사업 Ⅳ. 공무원후생복지의 운영방식 Ⅴ. 공무원후생복지의 개선방안 1. 당위성 확보 1) 후생복지의 정체성 확립 2) 보수와 후생복지 3) 사회환경변화 2. 후생복지 수준설정 및 재원확보 1) 복지재정의 체계적 관리 2) 복지재원 확보 3. 효율적 운영시스템 개혁 1) 자율성/투명성/책임성 확보 2) 조직문화와 근무환경개선 프로그램 3) 상시평가 관리체계 구축 : 복지의 효율성 유지방안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1980년대와 1990년대는 공공분야에서 새로운 관리적 접근방법의 출현을 경험했다고 할 수 있다(Hughes, 1998: 52). 이러한 관리적 접근방법은 여러 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관리주의' (managerialism) (Politt, 1990), 신공공관리'(new public management) (Hood, 1991), 시장에 바탕을 둔 공공행정' (market-based public administration) (Lan and Rosenbloom, 1992), 기업가주의적 정부' (entrepreneurial government) (Osborne and Gaebler, 1992)등을 들 수 있다. 신공공관리부문의 대표적인 학자라고 할 수 있는 Hood는 이러한 관리적 접근방법을 신공공관리(New Public Management, NPM)라고 명명할 수 있다고 하면서 '신공공관리'가 7개의 주요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1991: 4-5). ≪ 중 략 ≫ Ⅱ. 공무원후생복지의 실시대상 정부는 선택적 후생복지제도 를 내년 1월부터 중앙인 사위 기획예산처 경찰청(본부) 등 3개 정부기관을 대상으로 시범 실시한다. 이어 이들 3개 기관에서 실시한 시범 실시 모델을 바탕으로 전 중앙부처와 정부 산하기관 등에서 자율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행자부는 시범 실시 기관을 대상으로 문제점을 보완하고 지속적으로 컨설팅을 받아 최적의 후생복지 모델 을 설계할 계획이다. 행자부는 또한 하반기에 기획예산처와 예산협의를 거쳐 공무원 선택적 복지제도 에 관한 운영기준을 만들 예정이다. 참고문헌 김가영(2001), 공무원 후생복지의 여건분석 및 추진전략, 중앙인사위원회 김태겸(1991), 공무원 후생복지 정책의 방향, 행정안전부 김가영(2001), 공무원 후생복지 여건분석 및 추진전략, 한국행정학회 이선우(1997), 공무원 후생복지제도의 개선방안 모색 이선우(1998), 공무원 후생복지제도의 개선방안 모색, 한국행정학회 조경호(2009), 공무원 후생복지 만족도와 생산성, 한국인사행정학회 키워드 공무원후생복지, 후생복지, 공무원, 복지, 복리후생, 공무원후생복지의 운영방식, 공무원후생복지의 개선방안 |
2017년 3월 2일 목요일
공무원후생복지재원조달운영방식공무원후생복지복지운영복지정책여건분석공무원후생복지의 실시대상, 공무원후생복지의 재원조달, 공무원후생복지의 운영방식, 공무원후생복지의 개선방안 분석
공무원후생복지재원조달운영방식공무원후생복지복지운영복지정책여건분석공무원후생복지의 실시대상, 공무원후생복지의 재원조달, 공무원후생복지의 운영방식, 공무원후생복지의 개선방안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