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경쟁력의 구성요인, 교직경쟁력의 외국사례, 교직경쟁력의 정책방향, 향후.hwp |
목차 Ⅰ. 개요 Ⅱ. 교직경쟁력의 구성요인 Ⅲ. 교직경쟁력의 외국사례 Ⅳ. 교직경쟁력의 정책방향 1. 교원의 근무여건 개선 2. 교원업무 경감 3. 교원양성기관 개혁 4. 처우 개선 5. 교원안전망 구축 운영 6. 교원존중 풍토 조성 7. 교원의 전문성 신장 8. 교원의 정책참여기회 확대 9. 전문직업인의 교직입직기회 부여 10. 학교의 자율성 확대 Ⅴ. 향후 교직경쟁력의 제고방안 1. 우수교사를 판별하는 기준 2. 교직 경쟁력을 구성하는 세 가지 차원 1) 교사의 자질과 능력부분에서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추가하고 교육헌신성을 '교원 직무분석에 따른 직업정신'으로 대체하고, 대인관계는 '의사소통 기술'로 바꾸었으면 함 2) 교직체제 효율성 영역에서는 '하의상달 체제'는 '논의구조 구축'으로, '승진체제'는 '질 관리 체제'로 바꾸었으면 함 3) 지역사회의 교직 인식은 '지역사회의 지원과 협동관계구축'으로 하고, 하위 구성요소에 '만족도'와 '학교와 지역사회 관계 구축'을 첨가하였으면 함 3. 학부모 교육관 교육지원 4. 현재의 교직 경쟁력 수준 5. "교사-교직체제(행정관료)-지역사회(학부모)"의 네트워크 6. 우리나라의 교직 경쟁력 활성화를 위해 반드시 파악하여 대응해야할 세 가지 변화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교직문화는 다음 두 가지 영역으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수 있다. 교사가 아이들과 학교교육에 헌신하며 이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사명감과 열정을 지속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분위기를 말한다. 즉 현재 교사들이 아이들과 교육에 대해 어느 정도의 사명감과 열정을 가지고 있느냐 하는 것과, 우리의 학교가 이러한 교사들의 사명감과 열정을 지속적으로 성장하게 하고, 이러한 에너지들이 전체 학교 교육을 위해 모아질 수 있도록 끌어가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느냐 하는 부분이다. 편의상 이 부분을 '사명감과 교육적 열정의 영역'이라고 부르기로 하겠다. 학교 현장 가운데 발생하는 여러 갈등을 성숙하게 해결하는 능력이 얼마나 존재하는가 하는 부분이다.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는 사명감과 열정을 가진 교사들과 그렇지 못한 교사들과의 관계에서, 사명감과 열정은 가지고 있으나 그 방향이 다른 교사들과의 관계에서, 정부나 교원 단체 등 학교 바깥 상부 단위에서의 일이 학교로 들어와 생긴 문제 등 다양한 갈등이 존재한다. 그런데 이러한 갈등이 생산적이고 성숙한 방법으로 해결되지 못하고 학교나 우리 교육 전체의 교육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갈 때 이를 '교단 갈등의 문제'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교단 갈등의 문제는 이러한 갈등을 겪는 개별 교사들의 사명감이나 교육적 열정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개별 교사의 열정과 에너지를 학교 전체의 교육적 힘으로 엮어내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교직문화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된다. 이렇게 볼 때 교직문화가 단지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라든가 교사들의 의식이나 좁은 의미의 문화적 차원에 국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영매(2002), 교직 경쟁력의 현주소와 당면과제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개발원 ◇ 김범석(2011), 1990년대 이후 교직 전문성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 문용린(2002), 교직 경쟁력의 의미와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 박경재(2002), 교직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부의 지원 대책, 한국교육개발원 ◇ 윤종건(2002), 교직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원 대책, 한국교육개발원 ◇ 이명호(2002), 교직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제언, 한국교육개발원 키워드 교직경쟁력, 교직, 교원, 교직체제, 교육관 |
2017년 3월 1일 수요일
교직경쟁력교직경쟁력 구성요인교직경쟁력 외국사례교직경쟁력 정책방향교직경쟁력 제고방안교직경쟁력의 구성요인, 교직경쟁력의 외국사례, 교직경쟁력의 정책방향, 향후 교직경쟁력의 제고방안 분석
교직경쟁력교직경쟁력 구성요인교직경쟁력 외국사례교직경쟁력 정책방향교직경쟁력 제고방안교직경쟁력의 구성요인, 교직경쟁력의 외국사례, 교직경쟁력의 정책방향, 향후 교직경쟁력의 제고방안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