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16일 목요일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정치관계,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교역변화,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페레스트로이카,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소련붕괴 분석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정치관계,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교역변화,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페레스트로이카,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소련붕괴 분석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정치관계, 소비에트연방(소련,.hwp


목차
Ⅰ. 서론

Ⅱ.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정치관계

Ⅲ.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교역변화
1. 1960년대
2. 1970년대
3. 1970년대 후반
4. 1980년대
5. 1980년대 중반이후
6. 1989년~1990년

Ⅳ.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페레스트로이카

Ⅴ.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소련붕괴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러시아와 북한과의 관계는 냉전 하의 소련 시절부터 태생적으로 이념적 군사적 동맹 관계를 맺어 왔다. 이것은 한국전쟁과 전쟁 복구, 그 후의 소련의 후견 등으로 이어졌으며, 중반에 절정에 달했다. 그러나 이러한 소련과 북한 관계는 고르바쵸프의 개혁으로 변하기 시작했고, 한 소수교 이후, 특히 신생 러시아의 출범 초기에 양국관계는 최악의 상황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양국관계는 다시 복원되었고, 현재는 과거의 군사적 이념적 특수 관계가 아니라 보편관계로 정리되었다고 보인다. 이것은 과거 전통적인 제정 러시아의 대 한반도 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다.
향후의 양국관계도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다시 과거의 군사적 이념적 특수관계로 돌아갈 가능성은 없을 것이다. 그 이유는 첫째, 북한 스스로가 러시아의 정치경제적 체제변화에 이질감을 느끼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러시아로서도 북한에게 과거 "체제유지의 기둥" 역할을 해야 할 이유가 완전히 없어졌다. 셋째, 러시아는 자신의 대 한반도 정책에서 북한 그 자체로서의 가치보다 우리와의 3자 관계에서 북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러시아의 대 미국, 대 일본, 대 중국과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한편 지난 10년간 우리와 러시아와의 관계는 북한과 관계의 대칭적인 것으로써, 급격히 강화되었다가, 이제 역시 북한과 다름없는 보편적인 관계로 나아가고 있다고 보여진다. 여기에는 러시아와 남북한간의 상호 경쟁적이고 제로섬적인 역학이 구조적인 요소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측의 대 러시아 외교도 적지 않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보인다. 물론 러시아가 최근 우리에게 보여준 외교의 일반적 관행에 벗어난 태도는 초강대국의 환상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비난받아야 마땅하며, 또 우리도 이에 대해 확고한 자세로 대응해야 할 것임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방대한 영토, 인구, 자원, 군사력, 과학 수준, 지정학적 위치 및 이해관계를 고려해 볼 때, 그 잠재력은 우리의 통일과 안보는 물론 경제적으로 아주 중요한 국가임에 틀림이 없다. 따라서 우리의 대 러시아 외교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가지고 있다고 보여 진다.

참고문헌
◇ 국회사무처(1982), 소련 과 북한 의 교역관계 분석, 대한민국국회
◇ 김용주(1992),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와 무역구조의 변화, 북한연구소
◇ 박수영(1989), 소련과 북한의 군사협력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 이철순(2010), 소련의 북한 정치세력에 대한 정책, 21세기정치학회
◇ 이기탁(1988), 소련의 극동군사정책과 북한과의 관계, 한국국방연구원
◇ Sanat Tajimuratov(2011), 북한과 소련 관계의 형성과 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키워드
소비에트연방, 소련, 러시아, 북한, 정치관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