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유아관, 불교의 인간관, 불교의 사생관, 불교의 죽음관, 불교의 종단관, 불교의 해탈관 분석.hwp |
목차 Ⅰ. 불교의 유아관 1. 수태의 순간을 곧 인간의 초기 형태로 보는 태내관(胎內觀) 2. 보호와 교도의 존재로서의 유아 3.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의지를 지닌 존재로서의 유아 Ⅱ. 불교의 인간관 Ⅲ. 불교의 사생관 Ⅳ. 불교의 죽음관 Ⅴ. 불교의 종단관 1. 종단 운영 복지기관 종사자들은 먼저 한국불교와 조계종단의 역사와 전통에 대하여 무한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2. 복지기관 종사자들은 부처님의 가르침 즉, 연기적 세계관과 인과의 가치관을 내면화하여 복지사로서 불제자로서 확고한 신념과 자세를 정립하여야 한다 3. 한국불교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종교라는 것을 믿어야 한다 Ⅵ. 불교의 해탈관 참고문헌 본문 Ⅰ. 불교의 유아관 1. 수태의 순간을 곧 인간의 초기 형태로 보는 태내관(胎內觀) 불교에서 보는 인간의 초기 형태는 '윤회사상'으로 인해 현대 과학에서 보는 관점과는 다르다. 이것은 불교의 인생관과도 연결되는데, 즉 인간의 생을 단지 한 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육도윤회(六道輪廻)하는 가운데 인연에 의해 만나 현생(現生)에서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성립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연기설에 의한 수태라고 할지라도 부모의 정자와 난자의 결합 외에 정신적 요소가 필요하다는 것이 불교의 입장이다. 부모가 건강하고 병이 없어 화합(和合)하며, 식신(識神) 혹은 건달바(建達 )가 동시에 오면 수태되기 때문에 부(父), 모(母), 식(識) 세 인연의 화합이 중요하다.(대비비사론 제 70, 유가사지론 제 1 권, 아비달마구사론 제8) 이처럼 정신적인 요소를「아함경」에서는 <식(識)>, 포태경에서는 <신(神)> 또는 <정신(精神)>, 논서에서는 건달바라고 말하고 있는데, 정자와 난자가 물질이라면 불전에서 말하는 식은 정신적인 요소로서의 주체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처럼 수태의 순간을 한 인간의 초기 형태로 보기 때문에 불교에서는 윤회도상에 있는 이 식을 단절하면 불살생계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본다. 예를 들어, 원시경전인「잡아함경」에는 과거에 낙태한 까닭으로 무량한 고통을 받고 또 현생에도 그 나머지 죄의 고통을 받는다 하여 낙태의 죄가 얼마나 큰 것인가를 설하고 있다. 이것은 결국 완전한 인간의 모습을 갖추지 않았다 할지라도 불성을 지니고 있어 살생을 금하며, 태아는 다겁 다생을 윤회한 전생의 한 업을 지닌 존재이므로 수태 즉시 한 인간으로 인정받아야 하는 소중한 존재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종인, 중생 개념에 투영된 불교의 인간관, 동양철학연구회, 2006 ◈ 박부영, 법인당 벽안 대종사의 생애와 종단관, 대한불교 조계종, 2011 ◈ 서상준, 불교의 죽음관, 동아대학교, 2009 ◈ 안환기, 유식불교의 해탈관, 한국종교학회, 2001 ◈ 윤종갑, 불교의 사생관과 생명윤리, 대한철학회, 2008 ◈ 장경도, 동양의 유아관에 대한 비교고찰 : 유교와 불교의 유아관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1989 키워드 불교, 유아관, 인간관, 사생관, 죽음관 |
2017년 2월 25일 토요일
불교불교 유아관불교 인간관불교 사생관불교 죽음관불교 종단관불교 해탈관유아관인간관사생관불교의 유아관, 불교의 인간관, 불교의 사생관, 불교의 죽음관, 불교의 종단관, 불교의 해탈관
불교불교 유아관불교 인간관불교 사생관불교 죽음관불교 종단관불교 해탈관유아관인간관사생관불교의 유아관, 불교의 인간관, 불교의 사생관, 불교의 죽음관, 불교의 종단관, 불교의 해탈관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