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와 출가, 불교용어와 가람(사찰, 사원), 불교용어와 합장, 불교용어와.hwp |
목차 Ⅰ. 불교용어와 출가 Ⅱ. 불교용어와 가람(사찰, 사원) Ⅲ. 불교용어와 합장 Ⅳ. 불교용어와 과거칠불 Ⅴ. 불교용어와 염불 Ⅵ. 불교용어와 나무아미타불 Ⅶ. 불교용어와 법회의식 Ⅷ. 불교용어와 범종 참고문헌 본문 Ⅰ. 불교용어와 출가 초기 불교에서는 까르마를 정신적인 것과 언어적인 것, 그리고 신체적인 것 세 가지로 분류한다. 『법구경』은 행위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마음을 가장 크게 강조한다. 법은 우리 생각의 결과이고 생각의 주인이며 생각에 의해 만들어진다. 붓다는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얻은 순간 세 가지 비전을 얻었다고 한다(Vishwanath Prasad Varma, 1997, p.215) 두 번째 비전에서 "그는 전 우주가 업과 윤회의 체계로 존재하고 있음을 보았다. 그 세계는 고상하거나 비천한 존재 그리고 행복하거나 불행한 존재로 구성되며, 자신들의 행위에 따라 존재 그리고 행복하거나 불행한 존재로 구성되며, 자신들의 행위에 따라 끊임없이 죽어가면서 하나의 형태를 떠나 다른 형태를 취한다." 붓다는 까르마의 순간적 활력과 의미가 그 같은 격정과 열기를 갖고 있다고 가르쳤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이 개념을 거의 우빠니샤드(Upanishads)적인 브라흐만의 위치에 두었다고 말한다. 우빠니샤드 시대의 까르마 법칙은 자연세계의 물리적인 힘과 인간 개성의 영역 속에 있는 도덕적인 힘, 이렇게 두 가지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두 가지 작용은 모두 근원적 절대자의 감독 아래 있다고 간주되었다. 그러나 붓다는 이 까르마의 법칙이 거의 자율에 의한 결정론적인 궁극성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했다. 붓다는 인간들이 까르마의 상속자이고 까르마가 바로 인간들 자신의 소유이며, 인간이 윤회하는 원인일 뿐더러 그들의 피난처라고 주장한다고 볼 수 있다. 그는 행위의 결과, 즉 현실과 내생 사이의 인과성을 강하게 주장했다. 실체로서 자아의 영속성을 주장하는 사상체계에서 연속을 통한 인과성이라는 이 같은 견해는 정당하게 보장된다. 그러나 붓다는 생과 생 사이를 영속하는 실체적 자아의 개념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인과 사이의 영속성을 주장한다. 참고문헌 - 박선희 외 3명(1975), 불교 용어 조사, 수련어문학회 - 박선영(1969), 불교용어해설, 법시사 - 안길모(1982), 오불고불, 오불꼬불 1, 일상언어속에 불교용어, 법륜사 - 안길모(1993), 불교용어 바르게 읽기, 길 - 이정일(2002), 국어 어휘 속의 불교 용어, 한국불교어문학회 - 태경 외 1명(2011), 불교용어 산책, 양사재 키워드 불교용어, 출가, 가람, 사찰, 사원 |
2017년 2월 25일 토요일
불교용어출가가람(사찰, 사원)불교용어와 출가, 불교용어와 가람(사찰, 사원), 불교용어와 합장, 불교용어와 과거칠불, 불교용어와 염불, 불교용어와 나무아미타불, 불교용어와 법회의식, 불교용어와 범종
불교용어출가가람(사찰, 사원)불교용어와 출가, 불교용어와 가람(사찰, 사원), 불교용어와 합장, 불교용어와 과거칠불, 불교용어와 염불, 불교용어와 나무아미타불, 불교용어와 법회의식, 불교용어와 범종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