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26일 일요일

침엽수침엽수와 활엽수림침엽수와 침엽수림침엽수와 침엽수자원침엽수잎합판용원자재침엽수와 활엽수림, 침엽수와 침엽수림, 침엽수와 침엽수자원, 침엽수와 침엽수잎, 침엽수와 합판용원자재 분석

침엽수침엽수와 활엽수림침엽수와 침엽수림침엽수와 침엽수자원침엽수잎합판용원자재침엽수와 활엽수림, 침엽수와 침엽수림, 침엽수와 침엽수자원, 침엽수와 침엽수잎, 침엽수와 합판용원자재 분석
침엽수와 활엽수림, 침엽수와 침엽수림, 침엽수와 침엽수자원, 침엽수와 침엽수잎, 침엽수와 합판용원자재 분석.hwp


목차
Ⅰ. 침엽수와 활엽수림
1. 상록활엽수림대의 분포
2.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의 특성

Ⅱ. 침엽수와 침엽수림

Ⅲ. 침엽수와 침엽수자원
1. 소나무 - 펄프용 및 문화재용
1) 펄프용
2) 문화재용
2. 리기다소나무 -보드용 및 토목용재
3. 낙엽송 - 건축 토목용
4. 잣나무 - 건축 토목용

Ⅳ. 침엽수와 침엽수잎
1. 침엽수잎을 이용한 중금속 흡착제 제조
2. 중금속 시료액 제조
3. 실험 방법
1) 반응 시간에 따른 중금속 흡착능 실험
2) pH에 따른 중금속 흡착능 실험
3) 흡착제 종류에 따른 중금속 흡착능 실험
4) 중금속종류에 따른 흡착능 실험
5) 중금속 흡착능 분석기기
4. 결과 및 고찰
1) 반응 시간에 따른 중금속 흡착능 결과
2) pH에 따른 중금속 흡착능 실험결과
3) 흡착제 종류에 따른 흡착능 실험결과
4) 중금속종류에 따른 흡착능 실험 결과

Ⅴ. 침엽수와 합판용원자재
1. 합판용 원자재로서의 타당성 검토
2. 합판용 원자재 수급 실태

참고문헌

본문
Ⅰ. 침엽수와 활엽수림

1. 상록활엽수림대의 분포

일반적으로 상록활엽수의 분포지역은 연평균 기온, 연평균 최저기온, 한랭지수, 연평균 강수량 등 기온과 강수량의 요인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지니며, 일반적으로 연평균 기온 11oC - 15oC, 한랭지수는 -10oC - 15oC, 연평균 강수량은 900 mm - 1,500 mm 정도의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吉良, 1976).
전 세계적인 상록수림대의 분포는 위도상으로 볼 때에 대체적으로 30o-40o 대에 분포하고 있는데, 적도를 중심으로 하여 북위 30o-40o 대에 위치한 북미의 센프란시스코 일대, 유럽, 아프리카 및 아시아의 지중해 연안, 일본의 큐우슈 지방과 남위 30o-40o 대에 위치한 남미의 칠레 연안, 남아프리카의 희망봉 일대 및 호주의 동 서 및 남해안 일대의 광범위한 지역이 포함되나 그 분포면적은 그리 넓지 않다(W.C.M.C., 1992).

2.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의 특성

우리나라의 난대성 상록활엽수림의 주요 분포지는 한반도의 남부 해안지방과 도서지방을 비롯하여 동해안은 경남 울산의 춘도와 경북의 울릉도, 서해안은 백령도를 중심으로 한 대청도 및 소청도까지 이르고 있다. 그러나 벌채, 화목의 채취, 관상식물의 채취, 소득증대를 위한 방목, 국가와 지방의 산업시설을 위한 시설의 배치 및 간척, 관광객의 급속한 증대 등 주로 다양한 인간간섭에 의해 급속도로 파괴되고 있다(이호준 양호식, 1988). 우리나라의 상록활엽수림은 지역주민에게는 오랫동안 경외의 대상 또는 방재 등의 목적으로 마을주민들에 의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왔다. 그러나 도서 생태계는 내륙의 생태계 보다 파쇄성Fragility)과 멸종확률이 보다 높으며, 외래종의 침입에 비교적 허약하다는 점(Mueller-Dombois, 1981)에서 볼 때에, 산업화에 따른 국민정서의 급격한 변화의 물결로 인해 주변의 상록수림을 보존하려는 의지가 매우 약해져 있는 실정에서 이의 보전대책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행스럽게도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상록활엽수림 지역을 살펴 볼 때에 대부분이 해송 등 2차 천이에 의한 식생이 우점을 이루는 지역이 많으나, 동백나무, 식나무, 후박나무 등의 치수가 왕성하게 생육하고 있어 원래 상록활엽수림으로의 복원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 김은일 외 3명(2002), 산림의 건강기능 구명을 위한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의 뇌파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
◈ 박상곤(2011), 백두대간 침엽수림의 식생조성 및 구조, 경북대학교
◈ 박종영(2000), 국산 침엽수재의 합판용재 개발, 국립산림과학원
◈ 심종섭 외 1명(2001), 국산침엽수재 수급실태 분석 및 경제성 제고 방안, 대한민국학술원
◈ 이상극(2003), 국내산 주요 침엽수 잎의 추출성분, 강원대학교
◈ 조춘구 외 2명(2007), 침엽수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효과, 대한화장품학회

키워드
침엽수, 활엽수림, 침엽수림, 침엽수자원, 침엽수잎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