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공의 연혁, 목공의 교육, 목공의 도구1(손밀이 대패), 목공의 도구2(톱), 목공의 도구3(둥근톱 기계),.hwp |
목차 Ⅰ. 개요 Ⅱ. 목공의 연혁 Ⅲ. 목공의 교육 Ⅳ. 목공의 도구1(손밀이 대패) 1. 손밀이 대패의 작동 구조 2. 손밀이 대패의 주요 구조부 1) 대팻날 뭉치 2) 테이블 3) 규준대 4) 동력 전달 장치 3. 손밀이대패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 4. 손밀이 대패 사용할 때의 금지사항 Ⅴ. 목공의 도구2(톱) 1. 톱의 종류 및 용도 1) 자르는 톱 2) 켜는 톱 3) 양날 톱 4) 등대기 톱 5) 장부켜기 톱 6) 붕어 톱 7) 쥐꼬리 톱 8) 활 톱 9) 실 톱 2. 톱니의 구조 1) 자르는 톱니 2) 켜는 톱니 3) 막니 3. 톱질하는 방법 Ⅵ. 목공의 도구3(둥근톱 기계) 1. 둥근톱 기계(circular saw) 의 주요 구조 1) 테이블 오르내림 장치 2) 축 3) 규준대 4) 동력 전달 장치 5) 톱축 고정 나사 6) 톱 날 2. 둥근톱 기계의 용도 3.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 4. 금지 사항 Ⅶ. 목공의 도구4(끌) 1. 밀어넣기 끌 2. 깊은 구멍파기 끌 3. 세모 구멍파기 끌 4. 둥근 끌 5. 얇은 끌 6. 인두 끌 Ⅷ. 목공의 도구5(마름질 공구) 1. 그무개 1) 줄 그무개 2) 쪼개기 그무개 3) 장부 그무개 2. 연귀자 3. 마구리 대 4. 먹통 5. 목공용 빔 컴퍼스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대체로 교사들은 아동들이 가정에서 거의 공구를 사용치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고, 목공기능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남녀차가 크다고 의식하고 있다. 또한 목공구의 사용에 서투른 아동이 증가하며, 아동에게 적절한 공작대가 적고, 작업하기 어렵다고 보여 지며, 학교의 공구가 적고, 작업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공작에 필요한 수업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고 의식하고 있다. 또한 교사 자신은 공작능력이 뛰어나지 않다고 생각하며, 기능지도의 필요성을 의식하고 있고, 가능하면 목공작 지도를 하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공작에서 아동이 자유로이 표현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고, 수업 중에 이론보다는 실습을 하는 것이 수업에 효율적이라고 의식하고 있다. 목공작 지도를 할 때는 이론을 위주로 수업한 경우가 전체의 43.3%이고, 실습을 위주로 한 경우가 전체의 56.7%로 나타나, 목공작 지도가 실습실의 미비로 인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실습실 마련이 시급하다 하겠다. 이론위주의 목공작 지도시, 공구 기계 명칭과 사용에 대한 지식을 가장 중점을 두고 있고, 교사용 지도서를 가장 많은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교사시범이 포함된 강의식이 가장 많은 지도방법으로 나타나, 목공작 교수-학습활동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자료를 더욱 개발하여 보급되어야 한다. 실습위주의 목공작 지도시, 학생이 각자 키트 구입하는 경우(목공작 키트 사용 집단)가 전체(102명)의 70.6%를 차지하고 있어, 대부분이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키트제품을 구입하여 실습에 임하는 실정이어서 목공작의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키트 비사용 집단에서는 톱의 경우 가정 소유의 공구 사용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장도리의 경우는 가정 소유의 공구 사용이 가장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키트 사용 집단에서는 장도리의 경우 가정 소유의 공구사용이 가장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어, 목공작에 적정하고 부족한 교구가 확충되어야 하며, 국가적 차원의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하겠다. Ⅱ. 목공의 연혁 목공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그 정확한 시기를 측정하기가 곤란하다. 목공은 인류문화의 발전과 함께 발달해 왔다. 이집트의 고(古)왕국시대-톱이 발명되어 가공기술이 급속히 발달하였고, 의자 테이블 등이 많이 만들어졌다. 신왕국시대에는 더욱 정교 화려하게 되어 보석상자가 만들어졌으며 채문(彩文) 상감(象嵌) 도금법 등이 사용되었다. 12~13세기경 고딕 건축양식이 발달하면서 유럽에서는 교회용 의자나 테이블이 대량으로 만들어졌고 제작기술도 고도화하여 많은 고전양식의 가구가 출현하게 되어 17~18세기에는 가구를 중심으로 한 목공의 황금시대를 이루었다. 한국의 목공 역사도 신석기시대나 청동기시대로 소급하여 생각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그것은 추리에 불과할 뿐 아무런 역사적 자료가 없다. 다만 다소라도 근거를 찾는다면 고분시대 이후가 될 것이며 그것은 곧 삼국시대를 기점으로 한 것을 뜻한다. 고구려의 고분인 안악(安岳) 3호분 冬壽墓 을 비롯하여 덕흥리(德興里)고분, 감신총(龕神塚), 쌍영총(雙楹塚), 무용총(舞踊塚) 등의 벽화에 보이는 평상(平床)이나 반상도(飯床圖) 등은 이미 이 시대에 목공이 많이 발달하였음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또 한 당(漢唐)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도 짐작된다. 참고문헌 고선옥 외 1명(2011), 자연체험 목공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김용익(2009), 학교 목공 교육의 가치에 대한 소고, 한국가구학회 김용익(2009), 초등실과 목공교육의 정착 방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박청용(2008), 뚝딱 뚝딱 목공체험교실, 충청북도교육청 심연현(2008), 실과 목공수업 에서 문제해결학습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좌등장오랑 저, 편집부 역(1992), 목공기술, 세화 키워드 목공, 교육, 손밀이 대패, 톱, 둥근톱 기계 |
2017년 2월 17일 금요일
목공목공 연혁목공 교육목공 도구손밀이 대패톱목공의 연혁, 목공의 교육, 목공의 도구1(손밀이 대패), 목공의 도구2(톱), 목공의 도구3(둥근톱 기계), 목공의 도구4(끌), 목공 도구5(마름질 공구) 분석
목공목공 연혁목공 교육목공 도구손밀이 대패톱목공의 연혁, 목공의 교육, 목공의 도구1(손밀이 대패), 목공의 도구2(톱), 목공의 도구3(둥근톱 기계), 목공의 도구4(끌), 목공 도구5(마름질 공구)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