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 실제 사례를 들고, 그 사례 선정에 대한 배경을 설명한다. 2012년 미국의 CNN이 우포늪을 한국의 가볼만한 곳 6위에 올려놓았고, 한국 또한 한국문화재청은 최대 규모의 자연내륙 습지로 생물학적 다양성과 뛰어난 경관적 가치를 간직한 경남 창녕군 유어면 우포늪을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으로 등재 신청했을 하였습니다. 따라서 우리 조는 우포늪의 생태학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하여 강의시간에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내용과 관련된 여러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조사결과 원시적 저층늪을 그대로 간직하고 많은 희귀 동물들이 살고 있다고 자부하지만 잘못 된 점도 많았고, 앞으로 고쳐나가야 할 많은 과제들이 남아있었습니다. 생태학을 공부하는 우리가 나서서 잘못된 것을 바로 잡고, 생태에 대해 잘못된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제대로 된 지식을 심어주고, 습지의 중요성과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어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우포늪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2. 실제로 생태적인 사례가 과연 생태적인지를 면밀하게 토의한다. 저희 조는 우포늪이 생태학적 이라고 생각하는 의견과 생태학적이 아니라는 의견이 둘 다 나와 그 의견을 토대로 생태학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생태학적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결론을 내렸습니다. 1)우포늪이 생태학적 이다. 우선 우포늪이 생태학적이라고 생각하는 조원의 생각을 정리 해 보았습니다. 시간이 가면 갈수록 사람과 동물 또한 자연까지도 모두가 변합니다. 환경에 대한 적응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우포늪 또한 자연이 보존되는 한에서 사람이 인위적으로 약간 건드는 것을 보고 생태학적이 아니라고 단정 짓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생태학적이 아니라는 의견에서 "우포늪 생태관을 만들어 원래 생태관이 존재하기 전에 있던 식물이 없어졌다."라는 의견과, "그 생태관을 관리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하는 일들도 많아졌고, 시설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라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저 의견이 틀렸다고 반박은 못하겠습니다. 그러나 우포늪 생태관이 들어옴으로써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습지에 이해를 돕고, 우포늪에 살고 있는 조류, 어류 등 다양한 습지생물의 기록과 함께 생태환경에 대해 이해 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준다면 그것이 더 의미있는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생태관이 존재함으로써 이용객이 늘었고, 생태에 대해 더 크게는 자연에 대해 관심이 늘어나게 되어 "보존해야겠다." 라는 마음이 든다면 그것 자체가 생태 공부고,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문헌 4. 출처 -경남과학교육원 홈페이지 -김종원교수님, ver.2011, 우포늪의 식물군락, 계명대 출판부 p.48~50, 66, 121~131 -인터넷기사 (2006.9.15-내가 본 우포늪, 김종원교수님) -김종원교수님, ver2011, ECo 강의요약, p.2~5 하고 싶은 말 생태계 - 우포늪에 관해서 키워드 우포늪, 생태계, 식물군락 |
2016년 11월 20일 일요일
생태계 - 우포늪에 관해서
생태계 - 우포늪에 관해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