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20일 수요일

노인복지론4공통)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이 잔여적 복지인지 제도적 복지인지를 논하시오.

노인복지론4공통)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이 잔여적 복지인지 제도적 복지인지를 논하시오.
노후준비.hwp


목차
1. 서론
2. 세대개념과 베이비붐 세대
3. 인터뷰할 대상 사례(매일경제, 2017)
4. 베이비 붐 세대의 특징
5.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 내용
6. 잔여적 복지 개념과 제도적 복지 개념
7. 한국 노인복지 정책은 잔여주의인가 제도주의인가
8.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문제점
9. 결론
10. 참고자료

본문
1. 서론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의 영향으로 인구구조와 사회 환경 측면에서 커다란 변화가 진행 중이다.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는 핵가족화로 인한 인구감소와 의료기술의 발달에 의한 평균수명 연장을 통해 저출산 고령화 현상을 유도하였다. 저출산은 장래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 경제성장 둔화, 사회부담 가중을 초래하며, 고령화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노년부양비 증가 등의 경제 성장 둔화를 가져온다. 즉, 저출산 고령화는 장기적 노동공급의 감소로 국가 성장 잠재력이 약화 될 수 있으며, 연금적자 확대로 국가 재정 악화와 젊은 세대의 부담이 가중 되는 등 사회 전반에 부작용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합계출산율이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낮으며, 유엔인구기금(UNFPA)이 발간한 2008 세계인구현황보고서 에 따르면 조사대상 156개국 중 가장 낮다. 또한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00년 이후 부터는 노인 인구 비율이 세계 평균치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과 보건복지가족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7.2%로 '고령화 사회(Ageing Society) 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난다. 2018년에는 14.3%로 높아져 '고령사회(Aged Society)'가 되고 7년 뒤인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Post-Aged Society) 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통계청의 인구 추계에 따르면 서울시의 고령인구는 2010년 전국의 17.6%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19.1%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고령화 집단은 인구학의 코호트적 세대 개념 관점에서 보면 한국전쟁 이후 복구기인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 초반에태어난 출산율의 상승으로 광범위하게 출현한 베이비붐(baby boom) 세대의 비중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기경, 2014,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부양 부담, 한국노동연구원, pp.78~119
강욱모, & 김지훈. (2014). 베이비부머의 성공적 노화 주요변인 간의 인과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65(-), 341-360.
강은나, 김혜진, & 김영선. (2012).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근로지속의사 및 근로형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5(-), 159-182.
곽인숙, & 홍성희. (2013). 베이비부머의 노후생활설계 인식과 준비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47-172.
양옥남 외 공저(2011), 노인복지론, 공동체
김경아. (2014). 우리나라의 세대별 노후준비 수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베이비부머와 이전 및 이후세대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4(-),7-30.
정옥분 외 공저(2014), 노인복지론, 학지사
박재흥, 2013,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 사회학, v.37 n.3

하고 싶은 말
노인복지론4공통)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이 잔여적 복지인지 제도적 복지인지를 논하시오.

키워드
잔여적복지, 제도적복지, 노후준비, 베이비붐세대, 베이비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