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2일 목요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의, 건국강령,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극동인민대표회의, 카이로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의정원회의, 남북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파리강화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민대표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의, 건국강령,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극동인민대표회의, 카이로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의정원회의, 남북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파리강화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민대표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의, 건국강령,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극동인민대표회의,.hwp


목차
Ⅰ. 서론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의

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건국강령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극동인민대표회의
1. 극동인민대표회의와 한국 혁명의 과제
2. 레닌 테제의 등장과 한인 공산당 조직들의 해체

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카이로회의

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의정원회의

Ⅶ.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남북회의
1. 6개항 의견서
2. 2월서신
1) 김일성에게 보낸 것
2) 김두봉에게 보낸 것
3. 7거두성명

Ⅷ.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파리강화회의

Ⅸ.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민대표회의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제2차 세계대전의 전개과정에서 열린 수차례의 국제회의는 임정에 희망과 기대를 주는 동시에 절망과 우려를 선사했다. 그 중에서도 임정의 정세인식과 진로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카이로선언(1943. 12)과 얄타회담(1945. 2)의 결과였다.
카이로선언에서 연합국은 한국인들의 노예상태에 주목해 '적절한 시기(in due course)'에 한국을 독립시키겠다고 공표했다. 전후 국제질서 재편에 대한 루즈벨트의 다자간 국제 신탁통치 구상이 외교적 수사학으로 포장된 이 문구는 한반도의 장래가 연합국의 신탁통치 하에 놓인다는 의미였다. 1942년말부터 한국독립당과 임정은 이러한 연합국의 구상을 국제공관론 국제공영론으로 지칭하며 격렬하게 반대했다. 임정은 연합국의 전후 한반도문제 처리방식이 '위임통치'혹은 국제공관임을 인식했으며, 이를 타개하기 위한 가장 최선의 방법이 임정의 승인임을 자각했다.
이후 임정은 중국국민당 정부의 승인을 획득하는데 주력했으며, 이승만을 위원장으로 하는 주미외교위원부 주미외교위원회를 통해 미국의 승인을 얻으려 노력했다. 또한 런던의 프랑스망명정부와 연대하고 승인을 획득함으로써 임정의 국제적 승인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임정의 대 연합국 승인외교 활동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상태에서 1945년 2월 개최된 얄타회담은 임정에 큰 충격을 주었다.
런던의 폴란드망명정부 대신 소련이 지원하는 루블린의 폴란드국민해방위원회가 폴란드 유일정권으로 승인된 일이었다. 독일의 침공이후 폴란드 지배세력들은 1939년 9월 말 프랑스에서 시코르스키 망명정부를 수립했고, 프랑스 패전 이후 런던으로 망명정부를 이전했다. 이들은 1940년 1월 폴란드 국내에 지하군사조직으로 무장투쟁동맹을 설립하고 대독 무장투쟁에 돌입했다. 그러나 소련과 연계된 노동자당의 국내 국민평의회가 조직(1944. 1)된 이후 정세는 변화했다. 소련의 지원에 따라 이들은 1944년 7월 폴란드국민해방위원회를 설립했다. 헬림에서 설립된 폴란드국민해방위원회는 곧 루블린으로 옮겼고, 1945년 1월 임시정부로 발족됐다. 런던망명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1944년 12월 폴란드국민해방위원회를 임시정부로 승인했으며, 1945년 2월 얄타회담에서 연합국은 루블린정부를 주체로 한 국민통일임시정부(Prosivison Govt of National Unity)의 성립을 결정했다. 이미 미국은 1944년 4월까지 폴란드 지하공작 명목으로 2,500만 달러를 원조했고, 별도로 해외 폴란드군을 유지했지만, 런던망명정부를 끝까지 지원하지 못했던 것이다. 폴란드 런던임시정부의 실패는 임정에게 큰 충격이자 뼈아픈 교훈이었다. 중국의 지원을 받는 한편 미국의 승인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던 임정으로서는 예상치 못했던 소련이란 복병을 만난 것이었다. 즉 한반도에 인접한 소련지역에 한인 임시정부가 수립된다면 임정의 몰락이 초래될지도 모른다는 우려와 당혹감이었다.

참고문헌
심민화, 대한민국 임시정부 이전지 현황, 범우사, 2001
윤대원, 상해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여계언, 카이로(Cairo) 회담 연구 : 중국 국민당 정부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정용대, 임시정부의 파리강화회의 및 유럽 외교활동, 삼균학회, 2002
최진홍,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의 '의정활동' 연구,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시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건국강령, 삼균학회, 2006

키워드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극동인민대표회의, 카이로회의, 임시의정원회의

댓글 없음:

댓글 쓰기